책들의 우주/이론

메넥세노스, 플라톤

지하련 2010. 5. 29. 11:01


메넥세노스 - 10점
플라톤 지음, 이정호 옮김/이제이북스


메넥세노스

플라톤

이정호 옮김, 이제이북스


메넥세노스는 도입부와 마무리 부분에서 소크라테스와 메넥세노스 사이에 이루어진 간단한 대화를 제외하면 나머지 대부분은 모두 소크라테스가 전화는 전몰자에 대한 추도연설이다. 추도연설은 당시의 아테네와 아테네인들이 어떻게 자신들을 이해하고 있는지 그 단면을 엿보게 해 줄 분만 아니라 당대의 정치 현안과 체제에 대한 일정한 입장과 주장을 담고 있다. (책 해설 중에서)




피타고라스, 파르메니데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는 그리스 철학은 서양 철학과 사상을 지배했다. 그리고 그 중심에 플라톤이 있다. 플라톤의 철학은 우리에게 좋은 것, 완벽한 것, 변하지 않는 것, 영원하며 가치 있고 아름다운 것이 있음을 최초로 분명한 언어와 어조로 서술한 철학자이다. 하지만 움베르토 에코가 헤라클레이토스와 엘레아의 제논을 비교하면서 주류 지식인 헤라클레이토스와 반항적 지식인이자 혁명가 제논을 비교하였듯이, 앞에서 서술한 이들 철학자는 주류가 아니라 비주류에 가까웠다. 그리고 그리스 역사의 후반기에 등장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리스 고전기의 정점을 지나 후기 고전주의, 혹은 낭만주의 무렵에 등장하였으며, 그 다음 시기는 곧장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이 만든 헬레니즘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 책메넥세노스는 그리스 정치 사상의 일면을 페리클레스의 연설문과 비교해 읽어보았을 때,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마치 마키아벨리의군주론이 현실정치(realpolitik)의 교과서이며, 16세기 매너리즘적 이율배반을 통한, 전도된 이상주의의 면모를 보여주었다면, ‘메넥세노스의 소크라테스는 그리스 정치적 이상은 무분별한 애국주의가 아니라 보편적 가치에 기반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끊임없이 역설하는 것이다. 반대로 페리클레스의 연설은 보편적 가치가 아니라, 그리스인의 가치, 아테네 제국주의에 대해 더 역설하고 있다. 보기에는 일면 비슷해 보이나, 강조점은 정반대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 셈이다.

실은 나는 페리클레스의 연설문을 이미 다른 책을 통해 읽고 감동받은 바 있었다. 하지만메넥세노스를 읽으면서 페리클레스의 연설이 가지는 한계를 알게 되었다.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녁이 되어야 날기시작하듯, 정치가 페리클레스와 사상가 소크라테스의 차이는 분명하다. 사람들은 소크라테스가 아니라 페리클레스에 열광할 것이다. 이천 여 년 전 아테네시민이 그랬고 현재의 대한민국 국민들도 그럴 것이다.

우리 인류는 물질적인 면에서 한 단계 올라섰는지 모르지만, 정신적인 면에는 더 빈곤해지고 막다른 길로 향해가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실은 현대의 정치가들 대부분은 페리클레스보다 못하고, 현대의 사상가들은 소크라테스의 어깨 위에 올라서도 그 어떤 영향력도 행사하지 못하고 있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