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우주/리뷰

산책, 이인선 개인전

지하련 2016. 6. 2. 11:44





     산책 a walk 

      이인선 개인전

      정동경향갤러리(경향신문사 별관 1층), 2005년 8월 23일 - 29일

 

 

#1. 상실의 시대


언제부터 가슴 한 켠에선 무언가를 잃어버렸다는 느낌을 가지고 있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처음 스치는 낯선 사람들로 가득한 도심의 잿빛 거리에서, 익숙한 간판의 낡은 커피향이 풍기는 찻집에서, 자욱한 담배 연기로 가득한 호프집에서, 누군가를 만나 원색 계열의 즐겁고 화려한 수다를 떨고 있는 동안마저도 거친 세파에 네모진 가슴의 어느 모퉁이에선 무관심에 방치되어 사라져가다가 결국은 형체도 없이 사라져, 겨우 그 어떤 것이 있던 자국만 남아 아무도 들어주지 않는 쓸쓸한 노래를 부르고 있었는지 모를 일이다.


왜 나는 무언가를 잃어버렸다는 막연한 느낌을 가지고 있는 걸까. 그리고 이 느낌은 나만 가지고 있는 느낌일까. 가끔 거리 한 복판에서, 그 공간 속에서 나의 이름을 아는 이가 한 명도 없다는 사실에 끔찍한 공포를 느낀 적이 있었다. 19세기의 예술가들이 ‘모더니티’라고 열광했던 그 기분을 느낄 때마다 등에 땀방울 맺히고 시선은 좌우로 흔들리며 파란 하늘은 우주 끝으로까지 밀려나는 듯하고 회색빛 벽에 잠시 몸을 기대고 이마의 땀을 손바닥을 닦아낼 때, 나는 왜 지금 여기에 있는가를 반문해보곤 한다.


왜 지금/여기 지금 여기에 있는가하고 묻지만, 오래 지나지 않아, 이 질문이 얼마나 허황된 질문을 깨닫게 된다. 아무런 이유도, 그 어떤 필연성도 없다. 그저 우연적인 현상일 뿐. 나의 삶이 이 공간 속에서 펼쳐지는 것에는 아무런 이유도, 목적도 없다.


#2. 현대의 산책자


산책자란 아무런 이유도, 목적도 없이 거리를 떠도는 방랑자다. 자신의 익명성을 즐기며 타인의 익명성을 물끄러미 쳐다본다. 이는 18세기 이후에야 시작되고 19세기에서야 본격화된 낯설고 흥미진진한 경험이다. 19세기의 예술가들을 사로잡았던 그 경험이다. 하지만 21세기의 산책자는 아무런 이유도, 목적도 없이 거리를 떠돌다가는 길을 잃어버리고 만다. 어디로 가야할지 모른 채 안절부절 못하다가 극도의 두려움에 휩싸이곤 한다. 자신을 둘러싼 외부세계의 모든 것들이 낯설어졌을 때, 예술가들은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양식에 몰두하게 되지만, 모더니즘의 이러한 양식은 결국엔 낯설어진 세계 앞에서 극단적으로 개인화되고 주관화된 양식으로 변모해갔다.


19세기의 산책자와 21세기의 산책자는 똑같이 낯선, 익명의 공간 속에 놓여진다. 하지만 19세기의 산책자는 그 곳에서 새로운 즐거움을 발견해 내지만, 21세기의 산책자는 그 곳에서 뒷걸음질치다가 결국에는 그 낯선 공간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개인화되고 주관화된 시선으로 받아들인다. 그리고 그 주관화된 공간 속에서 떨쳐내지 못한 막연한 상실의 느낌과 싸우기 시작한다. 똑같은 산책이지만, 결국엔 19세기의 산책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산책으로 변해간 것이다.


낯선 세계 속에서, 자신을 알지 못하는 익명의 공간 속에서, 버려진 듯한 느낌으로 길을 걷다가도 익숙한 어떤 이의 이름을 듣거나 익숙한 물건이나 음악을 듣게 될 때, 아주 짧은 시간이기는 하지만, 막연한 상실감에서 잠시 벗어나 편안함을 느끼게 되는 순간을 잊지 못한다. 그리하여 이인선은 똑같은 산책자이면서 아무런 이유도, 목적도 없이 거리를 떠돌다가 우연히 마주하게 된 낯선 풍경 속에서 자신에게 익숙하면서도 낯익은 듯한 풍경을 찾아내고 그 풍경을 자신의 시각으로 풀어내고 변용시킨다.


#3. 익숙한 산책


이인선의 <1367-1 번지>는 거대한 익명의 도시 모퉁이에 흔히 볼 수 있는 낡고 오래된 건물을 캔버스에 옮긴 작품이다. 하지만 작품 속에서 드러나 있는 건물은 현실적이라기보다는 비현실적인 분위기에 휩싸여 있다. 그러나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좀 더 익숙하고 편안한 느낌을 풍기는 건 어떤 이유 때문일까. 


이인선의 작품들이 가지는 특징은 여기에 있다. 일련의 <1367-1 번지> 작품들은 거대한 도시 문명 속에서 늘 익명성의 타자들과 부대끼며 살아가면서 느낀 고립감, 쓸쓸함, 막연한 상실감 등을 익숙하고 편안한 풍경으로 변화시킨다. 그래서 쓸쓸한 도시의 변두리에서 볼 수 있을 법한 어떤 건물을 옮겨와서는 비현실적인 어떤 공간 속에 위치시키고 그 건물 속에서 견고하고 따뜻한 어떤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도시의 쓸쓸하고 외로워 보이는 어떤 건물 하나가 화가의 작업을 통해 거칠고 차가워 보이는 형태감이나 색채를 잃어버리고 아주 오래전에 우리 옆에 있었을 법한 어떤 풍경 속으로 자리 잡게 된다. 원래는 하나였지만, 어느 순간 잊고 지내온, 그래서 외부와는 아무런 소통도 없이 따로 떨어진 채로 살아가고 있는 어떤 풍경을 이인선은 외부 세계의 어떤 풍경 속에서 끄집어내고 그것을 화폭에 옮겨놓는 것이다.


이제 낯설음으로 열광하던 산책자에서 낯설음을 익숙함으로 변화시키는 산책자로 자리이동이 시작된 것이다.

 

(글쓴이. 김용섭)






* 2005년에 쓴 글이다. 자료 관리를 위해 블로그에 업로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