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우주/리뷰

정유재란 1597, 국립진주박물관

지하련 2017. 10. 11. 12:42


정유재란 1597

2017.07.25 - 10.22, 국립진주박물관 


진주성 안에 국립진주박물관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지난 추석 연휴, 우연히 방문한 곳에서 뜻하지 않은 전시와 만났고 그 짧은 후기를 올린다. 각 지역마다 박물관이나 미술관이 있지만, 내가 방문한 곳 대부분은 전시 프로그램이 빈약했다. 그런데 이번 전시는 꽤 알차다. 간단하게 전시 내용을 진주박물관 홈페이지에서 인용한다. 


1부는 ‘정유재란 이전 강화협상과 조선의 대응’이라는 주제로 1593년 명과 일본 간의 강화협상이 시작된 때부터 강화협상이 결렬될 때까지의 주요 인물과 사건을 다룬다. 2부는 ‘전쟁의 재개와 일본군의 공세’라는 주제로 정유재란 초기 일본군이 칠천량해전에서 승리를 거둔 뒤 남원성, 황석산성, 전주성을 연이어 함락하고 전라도와 충청도를 공격하는 시기를 다룬다. 3부는 ‘조명연합군의 반격과 주요 전투’라는 주제로 조명연합군이 직산전투와 명량해전에서 일본군의 기세를 꺾은 뒤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를 다룬다. 4부는 ‘전쟁의 기억 ?사람들’이라는 주제로 전쟁이 남긴 유산을 생각하는 코너이다. 5부는 ‘종전 이후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라는 주제로 전쟁이 끝난 뒤 조선·명·일본 삼국의 변화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일본과의 전쟁으로 남아 있는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자 조선의 산성과 왜성倭城에 대한 영상 등을 보여준다.  (출처: http://jinju.museum.go.kr) 


일본과 조선은 1597년 임진왜란 중 진행된 정전 협상이 결렬되고 재차 조선을 침략하고 1598년 연말까지 이어진 전쟁을 정유재란이라고 일컫는다. 전시되던 유물 중에는 조선인의 코를 베어 이렇게 많은 사람을 죽였소 라는, 일본의 문서도 있어 마음을 아프게 했다. (위키: 정유재란)


<징비록>, 류성룡이 전쟁이 끝난 뒤 파직되어 고향 안동 하회에 머물면서 쓴 책. 


<징비록>의 글씨는 거칠고 앞으로만 향해 가는 듯하다. 그 마음이 어떠했을까. 임진왜란으로 조선은 약 200만명에 가까운 사람이 죽었다. 그 때 당시 인구로 15%에 해당되는 수이다. 그 뒤 이어진 병자호란 때에는 50만명이 원나라 노비로 끌려갔다. 국가의 잘못된 판단은 몇 대에 걸쳐 피해를 입힌다. 이는 기업도 마찬가지일 터. 


<난중잡록>, 임진왜란 때 남원의 의병장 조경남이 남긴 기록. 1582년 ~ 1610년에 걸친 일기 형식의 글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기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마치 프린트를 한 듯 글이 바르다. 글씨는 작고 일정하며 빼곡하게 들어선 것이 작정하고 기록을 남기려는 듯하다. 실제 <난중잡록>의 후반부는 병자호란의 기록이 남겨져 있어, 조선 중기 역사를 파악하는 데 매우 귀중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그런데 저 마음은 어떤 것일까. <징비록>과 겹쳐 보면 그 마음새가 아린다. 




이 당시에 나온 언문 편지는 처음 본다.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라... 전쟁의 와중에 살아서 다시 보자고 하지만, 이를 약속하지 못한다는 문구에선 가슴이 시렸다. 


전시되는 유물의 수가 제법 되고 일본  나고야성박물관에서도 7건 10점의 일본 문화재도 함께 전시되고 있다. 임진왜란의 유물을 보면서 일본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할까 궁금해졌다. 아마 그 당시 대륙으로의 진출 실패로 그들은 근대 서양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는지도 모른다. 조선은 대륙과 붙어있으면서 한 때 대륙의 중앙까지 진출했던 경험을 가졌던 터라 대부분 서양 문물을 높이 평가하지 않았을 테지만, 일본은 달랐을 것이다. 역사는, 역시 알지 못할 일이다. 그러니 늘 신중하게 임해야 한다. 


 

진주성 안에 위치한 청계서원淸溪書院이다. 평상 시에는 닫혀 있다. 고려 현종 때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정신열(鄭臣烈)과 고려 말 물레를 만든 정천익(鄭天益)의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본래 진주시 대평면 마동에 있었으나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것을 1961년 복원하면서 진주성(晉州城) 안으로 옮겼다. 진양 정씨 후손들이 본 서원을 관리하고 있으며, 제사를 지낼 때만 문을 열어둔다고 한다. 담이 낮아 담 위로 사진을 찍었다. 건물들이 가지런하고 고와서 들어가고 싶었으나, 들어가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