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 2

성상파괴주의와 성상옹호주의, 진형준

, 진형준(지음), 살림 재미있게 읽히는 책이지만, 잘 정리되어 있다거나 분명한 논점을 가진 책은 아니다. 그래서 다소 맥이 빠지기도 하고 어느 부분에는 다소 부적절해보기도 한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을 폄하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문학평론가의 재능을 살려, 문학적이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이러한 생각을 하게 되는 이유는 사상사, 예술사, 종교사의 내용이 서로 어우러지지 못하고 따로따로 놀아난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원론(dualisme)에 대한 설명은 다소 부적절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실은 성상에 대한 두 가지 태도는 보이지 않는 추상적 개념을 보이게 할 것인가, 보이지 않게 그대로 놔둘 것인가에 결정에 따라 성상파괴주의와 성상옹호주의로 나누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원론과..

바로크, 신정아

바로크 신정아(지음), 살림지식총서143 이런 책에 대한 리뷰를 쓴다는 건 유쾌한 일이 아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아무 생각 없이 ‘바로크’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을 때, 이 단어에 대한 정의와 해설을 해주는 책이 있다는 좋은 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저 책이 있다는 것일 뿐, 이 책의 저자는 아르놀트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도 읽지 않은 듯 보인다. 그래서 바로크의 전 양식인 매너리즘에 대한 이해는 전혀 없으며, 고전주의적 바로크와 낭만적 바로크에 대한 구분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바로크 음악에 대해선 잘못된 설명을 하고 있다. 이 책을 보면서 전문 연구자가 아닌 필자의 전문 서적 집필이 매우 위험한 행위임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 그렇다면 누가 이런 책을 만들 생각을 할까? 정말 난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