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153

새 근원수필, 김용준

새 근원수필 (보급판) - 김용준 지음/열화당 새 근원수필(近園隨筆) (근원 김용준 전집 1권), 열화당 며칠이고 조용히 앉아 길게 읽을 책을 띄엄띄엄 산만하게 읽은 탓일까, 기억나는 것이라곤 오늘 읽은 술 이야기 밖에 없다. “예술가의 특성이란 대개 애주와 방만함과 세사(世事)에 등한한 것쯤인데, 이러한 애주와 방만함과 세사에 등한한 기질이 없고서는 흔히 그 작품이 또한 자유롭고 대담하게 방일(放逸)한 기개를 갖추기 어려운 것이다.” “술에 의하여 예술가의 감정이 정화되고, 창작심이 풍부해질 수 있다는 것은 예술가에 있어 한낱 지대(至大)의 기쁨이 아니 될 수 없을 것이다.” (199쪽) 내가 기억나는 문장이 이렇다 보니, 인상적이었던 단어 또한 매화음(梅花飮)이었다. 뜻은 매화가 핌을 기뻐하여 베푸는..

클라시커 50 회화, 롤프H.요한젠

클라시커50-회화롤프H.요한젠저 | 황현숙역 | 해냄 | 2002.03.11출처 : 반디앤루니스 http://www.bandinlunis.com 롤프 H. 요한젠, , 황현숙 옮김, 해냄 1. 서평이란 책을 평가하고 읽는 이, 또는 읽을 이를 위해 씌어진 글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글 쓰는 이의 사정에 따라 그 글의 모양새가 달라지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책에 있다기 보다는 책의 외부에 있다. 즉 책을 온전하게 평가하기 못하고 책이 놓여있는 Context에 너무 얽매이게 되는 것이다. 이는 미술사(학)라는 한국에 아직 낯선 학문분야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예술을 포함한) 전반에 해당된다는 점에서 서평을 쓰는 이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요컨대 한국의 학문 연구 풍토가 어떠하며 대학 교육이 어..

파울 클레의 삶과 예술

파울 클레의 삶과 예술, 크리스티안 겔하르(지음), 책세상 '건축 공식과 같은 회화와 시적인 회화를 조화시키는 것’(28쪽) 1+1=2가 되듯이 우리 삶도 어떤 규칙 - 모든 사람이 알고 공유하고 있는 변하지 않는 - 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그러면 지금보다 조금은 편해지지 않을까. 현대 예술가들은 그런 걸 염원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고전주의 시대는 늘 찰나같이 짧고 우리는 늘 낭만주의 시대를 살아간다 낭만주의 시대의 고전주의는 어딘가 비극적인 면모를 가질 수 밖에 없는 걸까. 나에게 파울 클레는 발터 벤야민이 끝까지 놓지 않았던 그림의 화가로 늘 기억된다. 이 불행했던 학자의 삶처럼 파울 클레의 작품도 그렇게 느껴지는 것이다. 그러나 파울 클레의 작품들을 유심히 살펴보면, 불행한 어떤 세계를 표현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