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들의 우주/문학

모리스 블랑쇼에 대하여, 엠마누엘 레비나스

지하련 2013. 1. 2. 22:51
모리스 블랑쇼에 대하여 - 10점
엠마누엘 레비나스 지음, 박규현 옮김/동문선



결혼을 하고 나이가 들고 직장에서의 내 위치가 올라갈수록 개인 시간을 만들기란 참 어려운 일임을 새삼 깨닫고 있다. 특히 돈벌이와 무관한, 개인적 시간은 가족의 양해를 구해야 하는 일임을. 그 중 하나가 책을 읽고 난 다음 짧은 서평을 쓰는 시간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나는 읽은 몇 권의 책에 대한 글을 쓰지 못하고 있다. 

이 책도 그 중 한 권이다. 쓰지 못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쓰게 된다면, 적어도 그 책에 대한 찬사가 되어야 하고, 그 찬사가 그 책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에마누엘 레비나스의 '모리스 블랑쇼에 대하여'는 찬사를 받기에 충분한 책이다. 레비나스는 오래 동안 블랑쇼와의 깊은 우정을 통해 그의 세계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으며, 레비나스의 애정 어린 철학적 시선은 이 짧은 책을 통해 모리스 블랑쇼 - 20세기 후반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자들에게 직,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주류 문학이 아닌 비 주류 문학에 서서, 전통적 문학에 반기를 든 작가이자 이론가였던 - 가 지향하였던 문학과 예술을 탁월하게 재구성해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현대적 문학, 또는 다가올 예술에 대한 낯설고 기묘하고, 그러나 부정할 수 없는 어떤 이론과 마주하게 될 것이며, 그 앞에서 서서 그동안 배워왔던 문학과 예술의 존재를 거부하게 될 것이다. 

아래 인용은 내가 그저 한 번 읽고 싶은 문구들의 일부이다. 이 책은 문학 이론서들 중에서 최고의 책들 중 한 권이 되겠지만, 아마 이 책을 언급하는 이는 드물다는 건 슬픈 일이다. 
 

** 


예술의 본질은 언어로부터 말할 수 없는 것으로 향하고, 작품에 의해 요소의 어두운 모습을 가시화하는 데 있다. 작품을 이렇게 모순과 더불어 묘사한다는 것은 변증법과 상관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대립항들의 교차로부터 타자를 삼키는 동일자가, 이 교차가 극복되고 그에 따라 모순이 완화되는 사유의 계획을 끌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사유가 이러한 변증법적 계획을 풀어놓아야 한다면, 즉 하나의 종합에 도달해야 한다면 우리는 여전히 세계에, 가능성과 인간의 결단력의 영역에, 행동과 적합성 가운데 머무르게 될 것이다. 그러나 문학은 그 어떤 사유도 다다를 수 없는 해안 - 문학은 사유할 수 없는 영역으로 향한다 - 으로 우리를 내던진다. 그 곳에서 존재-지각에 매달리는 관념론적 형이상학이 종결된다. 문학은 모든 가장 과감한 시도들에 의존해서는 벗어날 수 없는 세계의 모든 지평들을 성큼 건너가는 어떤 초월을 향한 유일한 모험이다. (23쪽) 


글을 쓴다는 것, 그것은 사물들을 말들로부터 벗어나게 하며 존재에게 메아리를 울리는 근원적인 언어로 되돌아가는 것일 게다. 사물들의 존재는 작품 속에서 명명된 것이 아니라 말하여지는 것이며, 말들은 사물들의 부재를 가리킨다. 존재한다는 것은 말하는 것을 가리키지만, 그것은 모든 이야기 상대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말하는 것이다. (18쪽) 


블랑쇼에 의하면, 세계를 밝게 비추는 것과는 거리가 먼 예술은 세계의 기초가 되는 모든 빛이 차단된 황량한 지하의 세계를 일깨운다. 예술은 우리의 거주에, 그리고 사막에서의 오두막의 기능을 하는 건축물의 찬란함에 추방의 본질을 되돌려준다. (중략) 예술은 빛이다. 하이데거에게 이 빛은 위로부터 내려와 세계를 만들고 거주처를 구축하는 빛이다. 반면 블랑쇼에게 이 빛은 지하로부터 올라온 밤의 어두운 빛으로 세계를 해체하고, 그 세계를 기원으로, 되풀이됨으로, 중얼거림으로, 끊임없이 딸각거리는 소리로, 어떤 '깊은 옛날, 아주 먼 옛날'로 인도한다. 비현실에 대한 시적 탐구란 실재의 맨 밑바닥을 탐구하는 것이다. (3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