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들의 우주/문학

오에 겐자부로, 작가 자신을 말하다

지하련 2015. 6. 7. 17:52

오에 겐자부로, 작가 자신을 말하다 
오자키 마리코 진행/정리, 윤상인, 박이진 옮김, 문학과 지성사 



이런 인터뷰집은 감동적이다. 오에 겐자부로는 이 인터뷰를 위해 그가 냈던 소설들을 다시 읽었고(거의 50여 권에 이르는), 인터뷰를 진행한 오자키 마리코는 질문 하나하나에 공을 들인다. 오에 겐자부로의 소설을 읽은 지 십 수년이 지난 나에게도 이 책은 <<개인적 체험>>, <<동시대 게임>>, <<조용한 생활>>을 읽던 그 때 그 기분에 빠져들게 만들기 충분했다. 도리어 최근 들어 오에 겐자부로를 읽지 않았구나 하는 후회까지 들게 만들었으니. 

하지만 이 책을 읽는 목적은 분명해 보인다. 소설가의 일반적인 인터뷰집이라고 하기엔 문학(이론)적이고 다양한 작가들-일본 작가뿐만 아니라 전 세계 작가들-이 등장하고 오에 겐자부로 소설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갖추고 있어야만 제대로 읽을 수 있다. 

그는 한 때 무라카미 하루키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내가 예전에 쓴 글에서 오에 겐자부로의 의견을 인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그 때 부정적이었음을 인정했고 무라카미 하루키가 그 나름의 방식으로 앞으로 걸어가고 있다고, 노벨문학상까지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한다.(나는 <<해변의 카프카>> 이후 하루키를 읽지 않았다.) 


외국어에서 받아들인 것을 일단 메이지 이후의 일본 문장체로 전환하고 그런 후 나의 소설 문장으로 만들어 가지요. 
그런데 바나나 씨나 무라카미 씨는 외국 문학을 자신의 육체로 온전히 받아들이고 자신의 육체로부터 문어체가 아니라 오히려 구어체, 일상 회화와 같은 문체로 자연스럽게 방출시키고 있다는 느낌을 받아요. 내 소설의 문어체, 즉 쓰기 언어적인 특질이 과거의 것이 되고 그 다음 단계로 살아있는 구어체 문장을 두 작가가 만들기 시작했지요. 더구나 무라카미 씨는 요즘 들어 자신의 구어체를 새로운 문체로 향상시키고 있다고나 할까, 확고히 굳히고 있어서 세계 곳곳에서 작품들이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그러한 신선한 눈부심은 나로서는 달성 불가능한 것이지요. 
- 264쪽 


문체에 대한 이야기다. 외국문학에서 영향 받았음을 숨기지 않고 외국문학에서 유래한 문장을 일본어 문장으로, 그리고 그만의 독자적인 문체로 만들어나가고 있음을 밝힌다. 그렇다면 한국어 문장이라는 건 뭘까? 


역자가, 예를 들어 엘리엇의 시상 속으로 깊이 집중해 들어가서 엘리엇을 일본어로 자기 안에서 공명시키기 위해서는 이 단어 밖에 없었구나 ... ... 그런 사정을 내가 알 수 있을 정도의 번역을 보면, 그것을 옆에 두는 것만으로도 내 안에서 나의 언어가 조금씩 솟아나옵니다. 
- 274쪽 


한국에서는 이제 번역 시집은 팔리지 않고 아예 새로운 시집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는 건 어쩌면 독자의 문제가 아니라 문학 종사자들의 문제가 아닐까. 동시에 세계의 다양한 언어들로부터 영향받아 우아하게 변할 수 있었던 한국어 문장은, 번역 문학의 영향이라는 문제를 도외시한 채로, 정체 불명의 시장(market) 언어로부터 몰락해가고 있는 건 아닐까. 자신들은 번역 문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지만, 번역 문학에 대해, 번역된 문학의 문장에 대해선 일언반구도 하지 않았던, 도리어 어떤 소설가의 소설을 두고 번역투의 문장이라며 비난했던. 그러니 좋은 번역문학가가 드물고 좋은 번역에 대한 관심도 없다. 아예 언어에 대한 사랑 자체가 없었던 건 아닐까. 

그래서 이 책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외)국어와 문체가 된다. 

소설가로서 살기 위한 조건은 두 가지가 있다고 봅니다. 하나는 자신의 문체를 만드는 것이 가능한가, 아닌가. 다른 하나는 이야기를 만드는 재능이 있는가, 없는가. 
- 52쪽 

 
오에 겐자부로는 그가 영향을 받았던 많은 작가들을 언급한다. 윌리엄 블레이크, 맬컴 라우리, 토마스 엘리엇, 오든 등 그는 많은 외국 문학 작품들과 작가들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을 고백하면서도 일본어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동시에 묻어난다. 실은 프랑스어와 영어가 자유로운 것이 그가 세계 문학으로부터 다양한 영향을 받았던 것일지도 모른다. (실로 나를 부끄럽게 만들었다) 


지금 가장 주의하고 계시는 것은? 
"와타나베 가즈오 선생님이 말씀하신 '스스로의 믿음에 빠진 기계가 되는' 것. 노년이란 정말로 그런 방향으로 하락해가는 듯해서요." 
- 416쪽 


그는 노벨문학상을 받은 후 일본 천황이 주는 문화훈장을 거부했다. 지금도 그는 문학가로서 할 수 있는 바 현실 사회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있다. 그가 한 때 석방을 위해 노력했던 시인 김지하와 대비되는 모습이다. 한국 사람들은 나이가 들면, 모두 '스스로의 믿음에 빠진 기계가 되는' 듯하다. 오에 겐자부로가 에드워드 사이드의 '말년의 작품late work'를 자주 말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을까. (* 에드워드 사이드, <<말년의 양식에 관하여>>, 마티)


"고향을 잃은 망명자는, 언제까지나 안주하지 않고 중심을 향해 비판하는 힘을 지속한다." - 에드워드 사이드 


아마 올해도 노벨문학상 발표 때가 되면 한국의 몇 명 작가들 집 앞으로 기자들이 몰려갈 것이다. 하지만 몰려가는 모습을 보면서 나는 참 부끄럽다고 여긴다. 한국 사회는 날로 형편없어지는데, 그 사이에 한국 문학의 목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기 때문이다. 그나마 작년 슬픈 사건 때 잠시 들렸을 뿐... ... 그것도 문학계의 원로들은 사라진 자리였다. 오에 겐자부로가 칠순의 몸을 이끌고 나와 원전 반대를 말하던 것과는 사뭇 대비된다. 


마지막으로 오에 겐자부로가 어학 공부에서 중요한 것이라고 말한 걸 옮긴다. 영문학과를 다니고 있긴 하지만, 외국어 공부는 참 어렵다. 다시 마음을 잡아야겠다. 


어학 공부에서 중요한 것은?
"사전을 세심하게 찾아보는 것. 정말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문장(시에서도)은 카드에 옮겨두고 외워버릴 것. 붉은 줄을 그어둔 책을 시간이 지나 몇 번이라도 다시 읽는 것.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시에서도)은 자신의 일본어로 번역해보는 것. 같은 작품을 두 가지 외국어로 읽어보는 습관을 기르는 것." 




오에 겐자부로, 작가 자신을 말하다 - 10점
오에 겐자부로 지음, 윤상인.박이진 옮김, 오자키 마리코 진행.정리/문학과지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