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들의 우주/문학

나는 고故 마티아 파스칼이오, 루이지 피란델로

지하련 2016. 2. 28. 10:51




나는 고故 마티아 파스칼이오 Il fu Mattia Pascal 
루이지 피란델로Luigi Pirandello(지음), 이윤희(옮김), 문학과지성사


"예, 그럴 겁니다! 백작은 이른 아침, 정확히 8시 반에 일어났다. ... ... 백작 부인은 목 둘레에 화려한 레이스가 달린 라일락 꽃무늬 드레스를 차려입었다. ... ... 테레지나는 몹시 배가 고팠다. ... ... 루크레지아는 사랑의 열병을 앓고 있었다. ... ... 오, 세상에! 이런 게 다 무슨 소용있습니까? 우리는 한줄기 태양광선을 채찍 삼아 쉼 없이 회전하는 보이지 않는 팽이 위에 살고 있지 않습니까? 그 연유도 모른 채, 결코 목적지에 도달하지도 못하면서, 우리에게 때로는 더위를 때로는 추위를 선사하고, 혹은 쉰 번쯤 혹은 예순 번쯤 회전한 후에는 죽음을 - 대개는 어리석은 짓만 범했다는 아쉬움과 함께 - 선사하기 위해 그저 그렇게 돌고 도는 데에 재미 붙인 양 미친 듯이 회전하는 모래 알갱이 위에 우리가 놓여 있는 것 아닐까요? 신부님, 코페르니쿠스가, 바로 코페르니스쿠스가 휴머니티를 더는 회복할 수 없을 만치 파괴시켰습니다. 우리가 이룬 그 모든 잘난 발명과 발견들로 인해, 어느덧 우리 자신이 무한히 작은 존재라는 새로운 개념에 서서히 젖어 들었어요. 그러고는 스스로를 우주 속의 보잘것없는 존재에 불과하다고 자각하게 된 겁니다. 그렇다면 이 사실은 과연 어떤 의미일까요? 우리들 개개인의 불행뿐 아니라 인류의 총체적인 불행에까지요. 우리들의 이야기는 이제 한낱 버러지들의 이야기에 불과해요. 앤틸리스 제도의 작은 재난의 의미를 아시겠습니까? 별거 아닙니다. 그 폴란드 참사회원의 주장대로, 아무런 목적 없이, 돌고 도는 데 진력이 난 가엾은 지구가 다소 인내심을 잃고 급기야 제 몸의 무수한 출구 중 한 곳에서 불꽃을 좀 뿜어내고 말았지요. 대체 무엇이 그토록 지구를 분노케 했을까요? 아마도 그것은 지금보다 더 한심한 적이 없었던 인간들의 우매함일지도 모릅니다. 그만두죠. 햇볕에 그을린 무수한 버러지들. 그래도 우린 살아가고 있습니다. 더 말해 무엇 하겠습니까?"  

*   * 

우리는 자주 지금 내 이름, 내 일상, 내 가족을 벗어나(버리고), 새로운 이름, 새 일상, 새로운 사랑을 꿈꾸곤 한다. 우연한 기회에 마티아 파스칼은 죽음으로 포장되고 새로운 이름을 얻는다. 이 소설은 두 개의 인생 사이에서 꿈 꾸듯 대화하고 우울해하며 불안한 사랑을 나누는 어떤 인물을 그린다. 

8쪽의 년도, 1083년이 아니라 1803년이라는 오타만 아니었다면 이 독서는 산뜻하게 시작되었을 것이다. 시대적 배경이 19세기에서 바로 11세기 중세로 넘어가는 이 사태에 대해 출판사 쪽에서는 아무 회신도 없었다. 루이지 피란델로는 그 세계적 명성, 문학적 가치, 놀랍도록 슬프고 우울한 웃음을 선사하지만, 국내에선 현대 희곡작가 정도로만 알려진 듯하다. 


이 소설을 지난 가을에 다 읽었으나, 이제서야 블로그에 올린다. 이 짧은 서평 쓰는 것도 힘에 겨울 정도로 요즘 내 일상은 피폐해져 있다. '시간이 해결해준다'라는 말이 가진 비극성은, 뭐랄까, 종말론적이랄까. 모든 일들을 마무리되면 피란델로에 대한 긴 글을 적어봐야겠다. 






나는 고故 마티아 파스칼이오 - 8점
루이지 피란델로 지음, 이윤희 옮김/문학과지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