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들의 우주/문학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지하련 2018. 3. 2. 09:21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지음), 양윤옥(옮김), 현대문학 



소설 쓰는 게 영 쉽지 않다는 걸 깨달은 후부터 소설 쓰는 법에 관심을 기울인 듯 싶다. 실은 소설 쓰는 법 따윈 관심을 기울이지 않아도 된다. 소설 쓰는 법을 배우고 소설가가 되는 경우보다, 그냥 소설가가 되는 경우가 더 많다. 우연히 소설가가 되고 소설가로서의 명성을 쌓은 후, 몇몇 작가들은 소설 쓰는 법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나는 그 작법 이야기를 읽거나 듣는다. 결국 내가 소설 쓰는 법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소설 쓰기와는 무관하게, 소설 쓰기에 대한 동경 같은 게 아직 남아 있어서 그런 건 아닐까. 그리고 소설 쓰는 법을 이야기할 정도로 수준 있는 소설가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내 동경은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일지도. 


젊은 하루키가 이제 노년의 하루키가 되었고, 나는 중년이 되었다. 한 때 하루키를 이해하지 못했던 오에 겐자부로는 최근에 하루키에 대해 찬사를 한다(오에의 아들 히카리도 중년이 되었다). 나는 그 찬사가 적절하다고 여긴다. 십수년 전 어느 무크지에 하루키와 관련된 칼럼이 기고하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했고 그 때 읽은 <해변의 카프카>가 마지막이었다. 과한 진지함이 나를 망쳐버렸다. 하루키를 좋아하지만, 그는 진지한 주제를 심도있게 끌고 나가는 소설가는 아니다라고 평가절하했다. 그런데 진지한 주제를 심도있게 끌고 나가야만 하냐고 내 스스로에게 묻는 것이 더 좋을 뻔 했는데 말이다. 그건 평가절하의 요소가 아니라 내가 바라보는 기준과 다른 방향에 서있었을 뿐이다.



이 책은 하루키가 자신의 소설 쓰기에 대해 적은 에세이집이다. 그가 소설을 어떤 계기로 썼고 어떻게 첫 번째 소설을 완성했는지, 그 이후 자신은 어떻게 소설을 써왔는지를 말한다. 심지어 '어떤 인물을 등장시킬까?'같은 챕터도 있다. 책은 가볍고 재미있다. 하루키 팬이라면 당연히 읽을 수 있는, 그리고 읽어야 하는 책이다. 


그러나 진지하게 소설을 어떤 식으로 쓰는가, 진짜 소설 작법에 대해 궁금한 독자들에게 이 책은 큰 도움은 되지 않을 지도 모른다. 왜냐면 하루키는 너무 쉽게 이야기하니까(아니면 작법 따윈 필요없으니 그냥 바로 시작하면 돼 라고 생각할지도). 하루키를 보고 있으면, 너도나도 소설가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야구장에서 불현듯, '그래, 나도 소설을 쓸 수 있을지 모른다'라고 생각했고, 그렇게 소설을 쓰기 시작해, 그 소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로 신인상을 받았으니까. 


그런 기분, 나도 느끼고 싶지만, 나에겐 기회가 없었고 나와는 맞지도 않다. 나는 아예 어렸을 때부터 작가를 꿈꾸었으니. 하지만 지금은 블로그에 올릴 글조차 쓸 시간이 없다. 그냥 이렇게 늙어가는 게다. 


올해 하루키를 한 번 읽어볼까, 글쎄다. 아마 읽고 실망할 게 뻔하다. 차라리 젊었을 때의 하루키가 낫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를 다시 읽는 것. 그게 나을 지도. 확실히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는 그 때까지 나온 일본 소설들과 달랐고, 그 소설이 한국의 젊은이들에 끼친 영향은 거대했다. 그 때만 해도 번역소설에 대한 연구나 분석 따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심지어 왜 번역소설만 읽냐는 핀잔을 듣기도 했으니. 하지만 그 정도로 쓰는 한국 소설가는 몇 명 되지도 않았다. 지금도 별 반 다르지 않은 듯 느껴지지만(요즘엔 거의 소설을 읽지 않으니, 이건 내 추측일 뿐이다) 


이 에세이집 초반에 하루키는 어떻게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를 썼는지 이야기한다. 그리고 얼마나 많은 비난을 받았는지도. 아래는 하루키의 첫 장편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밝히는 부분이다. 그 일부만 메모해두었다. 무척 흥미로운 과정이다. 그는 고등학교 때부터 영어로 된 소설을 꾸준히 읽어, 어느 정도 될 것이라 여겨지지만, 고등학교 영어 성적은 그와 비례하지 않았다고 한다. 소설가가 된 후, 미국 대학에서 강의까지 할 정도였으니. 너무 늦은 나이이긴 하지만, 나도 영어 소설을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수준까진 가보자. 하루키는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를 쓸 때 일본어 초고 --> 첫부분을 영어로 번역 --> 다시 일본어로 옮기는 과정을 거쳤다. 이러면서 자신만의 문장 리듬을 만들었다고 이야기한다. 한 번 시도해볼 만한 방법인 듯하여, 아래 메모해둔다. 


하지만 대충 '아마 이럴 것이다'라는 어림짐작으로 소설 비슷한 것을 몇 달 동안 써 본 것인데, 다 쓴 것을 읽어봤더니 내가 생각하기에도 별로 재미가 없어요. '에이, 이래서는 아무 짝에도 못 쓰겠다'하고 실망했습니다. 뭐랄까, 일단 소설의 형식은 갖췄는데, 읽어도 재미가 없고, 다 읽은 뒤에도 마음에 호소하는 것이 없었습니다. (48쪽) 


만년필과 원고지가 눈 앞에 있으면 아무래도 자세가 '문학적'이 되어버립니다. 그 대신 붙박이장에 넣어두었던 울리베티 영자 타자기를 꺼냈습니다. 그걸로 소설의 첫 부분을 시험삼아 영어로 써보기로 했습니다. 아무튼 뭐든 좋으니 '평범하지 않은 것'을 해보자, 하고. 

물론 내 영작 능력이라야 뭐, 뻔하지요. 한정된 수의 단어를 구사해 한정된 수의 구문으로 글을 쓸 수 밖에 없습니다. 문장은 당연히 짧아집니다. 머릿 속에 아무리 복잡한 생각이 잔뜩 들어있어도 그걸 그대로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어요. 내용은 가능한 한 심플한 단어로 바꾸고 의도를 알기 쉽게 패러프레이즈하고, 묘사에서 불필요한 군더더기를 깎아내고 전체를 콤팩트한 형태로 만들어 한정된 용기에 넣는 단계를 거칠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몹시 조잡한 문장이 되어버립니다. 하지만 그렇게 고생해가며 문장을 써 내려가는 동안에 점점 내 나름의 문장 리듬 같은 것이 생겨났습니다. (49쪽) 


아무튼 그렇게 외국어로 글을 쓰는 효과의 재미를 '발견'하고 나름대로의 문장의 리듬을 몸에 익히자 나는 영자 타자기를 붙박이장에 넣어버리고 다시 원고지와 만년필을 꺼냈습니다. 그리고 책상 앞에 앉아 영어로 쓴 한 장 분량의 문장을 일본어로 '번역'했습니다. 번역이라고 해도 딱딱한 직역이 아니라 자유로운 '이식'에 가깝습니다. 그러자 거기에는 필연적으로 새로운 일본어 문체가 나타났습니다. 이건 나만의 독자적인 문체이기도 합니다. 내가 내 손으로 발견한 문체입니다. (51쪽) 


* 내 블로그에서 하루키로 검색하면 몇 개의 포스팅을 확인할 수 있다. 찾아보니, <해변의 카프카> 이후 하루키도 많은 소설을 낸 것도 아니다. 쉽게 쓰는 스타일이라 여겼는데, 그렇지도 않은 듯 싶다. 이에 비한다면 아멜리 노통브는!! 노통브의 소설 한 권 더 읽어봐야 되나.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 8점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