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교 4

세계사 속의 팔레스타인 문제, 우스키 아키라

세계사 속 팔레스타인 문제 우스키 아키라(지음), 김윤정(옮김), 글항아리    최근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공습은 하마스의 선제 공격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나, 그래도 이해하기 어렵다. 어렸을 때, 탈무드라든가 랍비라든가 하는 책들을 통해 우리는 유대인에 대한 긍정적인 면을 곧잘 듣고 읽지만, 나이가 들어보면 이런 XXX같은 민족도 없다. 그런데 도대체 어떤 이유로 저들은 저렇게 행동하는 것일까. 도대체 이스라엘이라는 나라는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우리가 이해하는 바 유대인은 어떤 이들인가. 몇 권의 책을 찾아 읽기 시작했다. 그 중 한 권이 바로 이 책, >다. 읽으면서 노트를 하다보니, 상당히 많은 부분을 옮겨 적었다. 현재는 절판된 상태라, 공공도서관에서 빌려읽을 수 밖에 없지만, 정말 좋은 책이다. 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대한 메모.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대한 메모.  - 미국은 왜 이스라엘에게 우호적인가. 1. 미국이 친이스라엘적인 이유에 대한 명확한 배경이 없다. 유대인들의 정치 로비가 한 몫할 것이라는 추정(반대로 아랍인들의 정치 로비가 없다는),2. 이스라엘 군대가 아랍 지역에서의 균형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미 정부가 친이스라엘 노선을 취한다는 의견. 3. 하지만 사람들은 왜 미국이 친이스라엘이어야 하는지 잘 모른다. 개인적으로 청교도적인 배경 때문이 아닐까 하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 1세기 전 영국인들과 벨푸어 외상.1. 예수 그리스도가 재림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대인이 국가를 세워한다는 천년왕국설이 있다. 17세기 중반 영국 청교도혁명 이후 유행처럼 번지는데, 이게 20세기까지 이어졌다. 영국 지배층들 대부분 이 생각..

팔레스타인 비극사

1948년 3월 10일 쌀쌀한 수요일 오후에 이 건물(*화이트하우스)에서 베테랑 시온주의 지도자들과 젊은 유대인 군 장교들로 이루어진 11인 그룹이 팔레스타인 종족 청소ethnic cleansing를 위한 계획을 마지막으로 손질했다. 그 날 저녁, 팔레스타인인들을 이 나라의 광대한 지역에서 체계적으로 쫓아낼 준비를 하라는 군사명령이 현장에 있는 각급부대에 전해졌다. (7쪽) 홀로코스트 이후 대규모 반인도적 범죄를 갖추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 되었다. 특히 전자 매체가 급증한 이래로 통신 중심의 현대 세계에서는 인간이 저지른 어떤 재앙도 대중의 눈을 피해 숨기거나 잡아뗄 수 없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런 범죄 하나가 전 세계 대중의 기억에서 거의 완전히 지워졌다. 1948년 이스라엘이 저지른 팔레스타인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한국 나이로 쉰 아홉인 데이브는 2014년 이스라엘 전투기의 가자 지구 공습으로 그의 형제들과 조카들, 그리고 사랑하는 아내, 3살된 딸과 고작 7개월 밖에 안 된 아들을 잃었다. 데이브의 가족은 이미 무수히 죽어간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일부일 뿐이다. 팔레스타인 출신의 기독교도인 에드워드 사이드는 다니엘 바렌보임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팔레스타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이야기를 한다. 상당히 수준 높은 연주를 들려주었던 오케스트라로 유명했다고 회고하지만, 이스라엘이 생기기 전 팔레스타인과 그 이후의 팔레스타인은 다른 나라다. 팔레스타인에 이슬람교도만 있었다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쇼아 이후 많은 유태인들이 그들에게 닥친 비극을 노래하지만, 국제 정치의 결과물인 이스라엘(솔직히 19세기에 없었던 듣보잡 나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