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들의 우주/이론 305

인류의 세계사, 허버트 조지 웰스

인류의 세계사허버트 조지 웰스(지음), 육혜원(옮김), 이화북스 1922년에 나온 역사책이다. 지금 읽어도 나쁘지 않은 책이며, 최근 새롭게 알려진 사실들도 함께 설명하고 있어 20세기 초반의 시각으로 잘못 받아들일 수 있는 부분까지 고려하고 있다. 내 추측이긴 하지만, 2006년에 펭귄북스에서 재출간된 버전을 그대로 한글로 옮긴 듯하다. 이 책의 장점은 H.G.웰스의 시각에서 중요한 부분들만을 정리하고 있어, 역사학자들이 서술한 일반적인 세계사 서적들의 관점과는 다르다는 데 있다. 그래서 책 초반에는 '생명의 탄생'이나 '인류의 기원' 부분에서는 자연의 역사나 지구의 역사 같은 부분도 등장하며, 현대의 무신론적이며 과학적인 태도에서 서술하고자 하는 노력이 눈에 띈다. 또한 미국의 역사에 대해서도 상..

세계-사이, 최정우

세계-사이 최정우(지음), 타이피스트 워낙 시간이 파편적으로 변한 탓에, 자연스럽게 짧게 읽을 수 있는 산문집에 먼저 손이 가게 된다. 꾸준하게 하루에 한두시간 씩 집중할 수 있는 여유를 가져야 하는데, 이게 참 쉽지 않다. 최정우의 글을 읽다보면, 문장에 대한 욕심으로 인해 지적 측면이 희석되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곧잘 하게 된다. 자주 읽은 것은 아니지만. 이 책은 파리에 머무르면서 그동안 쓴 글들 - 일기를 포함해서 - 을 모아 펴낸 것이다. 일상 이야기도 있고 문학이나 철학, 예술에 대한 글도 있다. 대부분 길지 않아 편하게 읽을 수 있다. 의외로 금방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고전적이고 낭만적인 기준에서의 근대 예술이 예술 작품이라는 사물 자체의 유일무이한 아우라aura로부터 가능했던..

알렉산드로스, 침략자 혹은 제왕, 마이클 우드(지음)

알렉산드로스, 침략자 혹은 제왕마이클 우드(지음), 남경태(옮김), 중앙M&B '동서양의 역사를 바꾼 대원정과 쓸쓸한 귀환'이라는 부제가 상당히 인상적인 책이다. BBC 다큐멘터리를 책으로 옮긴 것으로, 이 분야에 있어 마이클 우드(Michael David Wood)는 압도적이다. BBC에서 진행한 많은 역사 다큐멘터리를 주도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책들을 집필하였고, 대학 강단에 서기도 했다. 하지만 마이클 우드가 쓴 책들이 많이 번역되어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몇 권 되지 않는다. 인터넷이 발전하고 한국이 글로벌 사회의 주요 일원된 지금, 예전만큼 세계사에 관심을 덜 가지는 듯하다. 그 나라의 역사를 알고 지금 현재를 보면 더 흥미진진하지만, 그걸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 가령 제국의 후예들 - 터키..

당신은 화성으로 떠날 수 없다, 아메데오 발비

당신은 화성으로 떠날 수 없다 - 생명체, 우주여행, 행성 식민지를 둘러싼 과학의 유감아메데오 발비(지음), 장윤주(옮김), 황호성(감수), 북인어박스  "우리는 달을 탐험하기 위해 이 모든 길을 헤쳐왔지만, 우리가 발견한 가장 중요한 건 지구였다." - 윌리엄 앤더스(William Anders, 1933~), 1968년 12월 유인 탐사선 아폴로 8호를 타고 달 궤도에 도달함.   제목 그대로 이 책은 화성으로 떠날 수 없는 우리와 현재의 과학 수준을 진단하고 있다. 아무리 머스크가 화성을 이야기한다고 하더라도, 많은 소설가와 영화감독들이 '화성'을 노래해도 우리는 화성으로 갈 수 없다. 이 책은 왜 불가능한지 하나하나, 조목조목 설명하고 있다. 얼마나 많은 어려움과 난관이 존재하는지 말이다.  '예를..

AGI의 시대, 한상기

AGI의 시대한상기(지음), 한빛미디어   "우리는 우리보다 더 똑똑한 사물이 생긴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경험해본 적이 없습니다." - 제프리 힌턴 아직까지 사람들은 AI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하긴 AI 기술의 발전 속도가 너무 빨리 따라가기도 벅차다. 얼마 전 세미나 발표 때, 나는 이것이 산업혁명 이후 진정한 새로운 혁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석기농업혁명, 산업혁명, 그리고 이것. AI가 만들어낼 어떤 세계. 그리고 산업혁명 때 러다이트 운동이 일어났듯 AI가 새롭게 열어놓은 어떤 세계 속에서 우리 인류가 마주하게 될 상황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것일 테니, 바짝 긴장해야 한다고 말이다. 하지만 얼마나 호소력이 있을 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상당히 시의..

어디에나 있고 무엇이든 하는 알고리즘 이야기, 문병로

어디에나 있고 무엇이든 하는 알고리즘 이야기문병로(지음), 김영사  얇은 책이지만, 나같이 컴퓨터공학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이들은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이다. 업무로 인해 지금도 공학을 전공한 개발자와 이야기하고 데이터베이스 구조나 프로그램 로직 설계를 같이 검토하지만, 뭔가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느낌이 들어 최근에는 파이썬 책까지 샀다.  알고리즘Algorithm은 무함마드 이븐 무사 알 콰리즈미라는, 9세기 이란 아바스 왕조 시대 대수학의 고전을 쓴 학자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 때의 아랍은 정말이지, 넘사벽이었다. 이 책은 알고리즘의 학문적 배경을 이야기하면서 간단하게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가를 설명한다. 책을 읽으면서 노트한 걸 옮겨놓는다.  여행하는 세일즈맨 문제 traveling sal..

가장 인간적인 인간, 브라이언 크리스찬

가장 인간적인 인간 The Most Human Human브라이언 크리스찬Brian Christian(지음), 최호영(옮김), 책읽는수요일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 변화에 적응하고 더 나아가 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어쩌면 내 마지막 희망일지도 모르겠다. 이런저런 책을 읽고 이런저런 일을 해오면서, 진짜 변화가 오고 있다는 생각은 이번이 처음인 것같다. 나는 움베르토 에코의 전망대로 포스트모던이 아니라 새로운 중세가 되고 새로운 헬레니즘 시기를 지나 중세로 급격히 빨려들어갈 것이라 여겼다. 기후 위기나 자원고갈, 민족주의와 우파의 득세, 지정학적 위기의 고조는 이를 뒷받침한다고 여겼다. 하지만 AI가 이를 더 가속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이 흐름을 되돌리거나 진정시킬 수 있을 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

크랙업 캐피털리즘, 퀸 슬로보디언

크랙업 캐피털리즘 - 시장급진주의자가 꿈꾸는 민주주의 없는 세계퀸 슬로보디언(지음), 김승우(옮김), 아르테   2024년 읽은 최고의 책이다.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관계를 흥미롭게 탐구하며 앞으로의 다소 어두운 전망을 쏟아낸다.  우리가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이야기할 때, 나는 민주주의 자체가 가지고 있는 허약함 같은 것이라 여겼다. 가령 대중의 지혜가 아닌 대중의 무능력함이 표현될 때라든가(대표적으로 지난 대선 때 2번을 찍어 한국을 퇴보시켰던), 말도 안 되는 이유로 계엄을 선포해 나라 전체에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입힌 것이나 국민의 힘이라는 정당명을 내란의 힘이나 국민의 짐으로 변경해도 모자랄 지경인, 어리석한 행동을 아직도 보여주는 정당을 보면서 민주주의란 유지하기 어려운 정치 시스템이라는 생각..

세상의 모든 시간, 토마스 기르스트

세상의 모든 시간 - 느리게 사는 지혜에 관하여 토마스 기르스트(지음), 이덕임(옮김), 을유문화사   우연히 방문한 서점에서 산 작은 책. 의외로 재미있고 유용했다. 독후감을 쓰려다 보니, 예전에 읽었던 >의 저자이기도 했다. 글 스타일도 비슷하다. 이 책은 작은 칼럼들을 모아놓은 에세이집이다. 아무 페이지나 열어 읽어도 된다. 문화 칼럼 정도라고 할까. 다양한 작품들을 이야기하며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데, 읽을 만하다.  그러고 보니, 뭔가 하나로 모아지진 않는다. 현대 문화/예술에 대한 트렌디한 감각을 알 수 있지만, 거기서 멈춘다. 대단한 통찰을 얻기 위한 책이라기 보다는 카페에 혼자 앉아 바깥 풍경을 보면서 읽기 좋은 책이다. 책의 시작은 상당히 좋지만, 뒤로 갈수록 긴장감이 떨어지는 것도 흠이..

기억 서사, 오카 마리

기억 서사오카 마리(지음), 김병구(옮김), 교유서가   많은 사람들이 이스라엘을 비난하지만, 이스라엘 안에서도 전쟁을 하는 자신의 나라를 비난하고 그러지 말라고 소리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주류 언론에선 그들을 다루지 않는다. 이는 일본도 비슷하다. 중국은 죽거나 추방당했다. 사람들은, 한국이나 일본, 영국이나 프랑스에 살고 있는 것과는 상관없이(문화적 배경이나 지역적 차이와 무관하게) 대체로 자주 듣고 읽게 되는 것으로 편향되기 마련이다. 일종의 반복 학습이랄까, 그래서 아무리 사실을 그대로 옮기더라도 한 번 편향된 시선을 가지면  아래선 대부분의 것들은 잘못 이해되고 그것으로 인해 끔찍한 비극이 생기기도 한다(이를 알튀세르는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로 정의한 바 있다). 어쩌면 아우슈비츠도 그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