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우주/예술사

미술사 연습 1

지하련 2021. 12. 21. 00:15

 

사비에 바랄 이 알테Xavier Barral I Altet의 <<미술사 보는 눈 Histoire de L'Art>>(미술문화, 2005년)을 읽는 중이다. 크세쥬 총서의 한 권으로 나온 것을 박준원 교수가 옮겼는데, 미술사 입문으로 적절한 책이다. 일본에서는 <<미술사입문>>으로 번역되었다(표지는 일본 번역서가 훨씬 좋다).

 

 

 

미술사가가 하는 일은 감식안을 가진 전문가의 일인 동시에 역사가의 일이다. 즉 작품들을 보되 그 정통성을 알아보는 일, 역사적인 가치와 현재의 가치들에 관해 비판적으로 판정하여 진술하는 일, 각 시대에 따른 역사적 발전의 틀 속에 작품을 자리매김하는 일, 작품이 제작되는 기술적인 발전 단계들을 알아내기 위해 고고학적으로 접근하는 일, 끝으로 보다 더 많은 대중이 작품을 알기 쉽게 대할 수 있는 방식을 통해 소개하는 일 등이다. (10쪽)

 

 

미술사에 대해, 그나마 정확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문장이다. 종종 미술사를 지식의 차원에서만 이해하고 이를 책으로 내는 이들이 있다. 나는 특히 감식안이 없는 이들이 오직 이론적 잣대로만 분석하고 평가하는 미술 관련 책을 싫어한다. 미술 뿐만 아니라 예술은 무조건 감동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래서 나이든 아낙네에게 예술은 모차르트의 피아노협주곡이 아닌 이미자의 구슬픈 트로트 가요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이야기한 바 '카타르시스'를 그 아낙네는 이미자의 노래를 통해 얻기 때문이다. 그것이 속된 말로 '싸구려 감상'일지언정, 그 노래는 들으면서 지난 추억을 회고하며 인생 무상을 깨닫을 지도 모를 일이다. 

 

** 

 

조르조 바사리, <<미술가 열정 Vies des meilleurs peintres, sculpteurs et architectes>>(1568)

"바사리가 시사하는 근대성은 중세로부터 미켈란젤로에 이르기까지 미술에 적용된 역사에 대해 발전적이고 진보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라고 알테는 적고 있다. 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기운이었으며 이후 바로크에 이르러 극대화되어 근대의 문을 열게 도니다. '발전적이고 진보적인 시각'이 바로 중세와 근대를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라인하르트 코젤레의 <<지나간 미래>>(문학동네)에서 자세히 언급되고 있다. 

 

조르조 바사리의 책

 

어쩌면 이 책은 서양미술사의 시작을 알리는 책일 수도 있다. 그 전까지 철학에서 예술을 언급하는 경우는 있었으나, 그 자체로 예술(가)만을 다룬 책은 이 책이 최초다(문학을 제외한다면). 

 

G. 벨로리(Giovanni Pietro Bellori), <<화가들의 생애 Vies des peintres>>(1672) (이 제목은 프랑스어로 번역된 것으로 보이며, 이탈리아어 제목은 영어로 번역된 The Lives of the Modern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로 생각된다. 구글에서 검색해도 대표 저서로 이 책이 소개되고 있으니.)

앙드레 펠리비앙(André Félibien), <<고대와 근대에서 가장 뛰어난 화가들의 생애와 작품들 Entretiens sur les vies et sur les ouvrages des plus excellents peintres anciens et mdoernes >>(1666~1668)

로제 드 필(Roger de Piles), <<화가들의 생애 개요 Abre'ge' de la vie des peintres>>(1699)

로제 드 필, <<원리로 따져본 회화강의 Cours de peinture par principes>>(1708) 

 

위 저서들에 대해 알테는 17세기는 '미적 기준에 따라 학파들의 등급을 나누는 경향이 두드러'졌다고 설명한다. 작품이나 미술가의 수준을 식별하려는 기준을 정립하고자 노력한 시기라 할 수 있겠다.  G.벨로리의 <<화가들의 생애>>는 유럽 미술사 및 비평의 기초 문헌으로 인정받는 책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이탈리아 로마 태생으로 알려져 있으며 젊은 시절 미술을 배웠으며, 성장해 교황 클레멘트 10세(Clement X)의 고대유물 담당 큐레이터로 일했다. 그리고 나중에는 스웨덴의 크리스나 여왕(Queen Christina of Sweden)의 사서이자 골동품 수집가로 있었으니, 이 쪽 분야의 전문가로서 평생 일한 셈이다. 카라치(Annibale Carracci), 도메니키노(Domenichino), 푸생(Nicolas Poussin)을 선호하였으며, 카라바지오(Caravaggio)는 거부했다. 그는 고전적 르네상스를 선호하였으며, 매너리즘을 싫어했다. 16세기 후반의 매너리즘 경향을 카라치가 극복해냈다고 평가하였으며, 그 이후 르네상스 고전주의를 향해 가는 일군의 작가를 높게 평가한 것이다. 반대로 자연주의적이고 사실주의적인 미술가들을 낮게 평가했다. 바로크적 이상주의를 G.벨로리의 저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셈이다. 이 내용은 모두 검색을 통해 확인한 바니, 실제 내용은 G.벨로리의 책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영어로 번역된 그의 저서는 구하기 어렵고 가격 또한 만만치 않구나.) 

 

G. 벨로리의 책

17세기 미적 기준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루이 14세(1638 - 1715, 태양왕Le Roi Soleil이라는 별칭으로 더 유명한) 때 설립된 프랑스 왕립 미술 아카데미를 빼놓을 수 없다.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는 17세기 고전적 바로크 미학, 혹은 이론을 풍성하게 하였으나, 19세기에 이르면 시대 착오적인 미술의 대명사로 이해된다. 17세기 프랑스 왕립 미술 아카데미는 사를르 르 브룅(Charles Le Brun)과 앙드레 펠리비앙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들은 화가들이 지켜야 할 고전주의적 미학과 그 우수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여기로부터 촉발된 논쟁이 바로 색채논쟁(la Querelle du coloris)이다. 그리고 이 논쟁의 대표적인 학자가 앙드레 펠리비앙과 로제 드 필이며, 더 나아가 푸생과 루벤스로 대표되는 고전적 바로크와 낭만적 바로크의 구분이 시작되었다. 

 

"대가들의 작품 분석이 프랑스 작가들에게 매우 유용한 훈련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그들이 작품의 완벽성을 높이는 법칙을 발견하게 될 것"이라고 펠리비앙은 말한다. 그는 음악과 시학에서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사용되고 있는 창작 규범이 회화의 영역에서도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주제에 따른 회화의 범주를 구별하고 이들의 위계질서를 설정하는 작품을 수행하며 아카데미가 추구하는 회화의 영역을 제시했다. 펠리비앙이 아카데미 회원들에게 강조한 가장 고귀하고 예술성이 높은 회화 장르는 알레고리적 구성을 갖춘 역사화와 종교화였다. 그는 그림에서 중요한 것은 주제이며 교훈적 내용을 지닌 주제를 설득력 있게 실현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아카데미 미술교육의 임무라고 생각했다. 펠리비앙의 이론에 의하면 회화는 상상된 행위의 산물이므로 회화의 진수는 표현이며 표현을 구성하는 요소인 소묘와 색채 중 소묘가 더 회화에 본질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펠리비앙의 이론을 수용한 17세기 프랑스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프랑스 회화의 모델로 제시된 화가는 니콜라스 푸생이었다. (*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에서의 루벤스 다시 쓰기: 로제 드 필과 2차 색채논쟁>(신상철) 중에서) 

 

로제 드 필의 책

 

로제 드 필은 루벤스를 푸생과는 확연히 다른 화풍을 구사하는 화가로 규정하면서 푸생과 루벤스 화풍의 대립 관계를 또다시 부각시켰다. 특히 로제 드 필은 루벤스를 르네상스 시기 베니스의 화가들보다 더 뛰어난 색채 미학의 대가로 평가했고 이 점은 루벤스 작품에 대한 프랑스 미술애호가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주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그는 왕립 미술 아카데미를 비롯한 프랑스 미술계에 루벤스의 작품에 구현된 색채 미학의 가치를 인식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그의 마지막 저술 작품으로 알려진 1708년에 출간된 <<Cours de peinture par principes>>과 이 책에 포함된 <화가들의 대차대조표La Balance des peintres>에는 색채에 대한 그의 미학관이 종합적으로 표출되어 있다. 로제 드 필은 프랑스 비평의 역사를 연 프레아르 드 샹브레(Fre'art de Chambray)의 영향을 받아 미술 분석에서 중요한 것은 작품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미술 감상의 보편적 평가 기준을 정립하려 했으며 이 과정에서 프레아르 드 샹브레가 규정한 작품 판단 기준을 토대로 소묘, 색채, 구성, 표현 등의 네 가지 범주로 이루어진 미술 작품의 평가 방식을 제시했다. 각 항목을 20점까지 최고점으로 설정하여 역대 서양 미술의 주요 작가 56명에 대한 평가표를 작성한 그는 라파엘로와 루벤스에게 최고점을 부여했다. (*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에서의 루벤스 다시 쓰기: 로제 드 필과 2차 색채논쟁>(신상철) 중에서) 

 

아래는 신상철 교수의 논문에서 언급된 <화가들의 대차대조표>다. 르네상스를 지나 본격적 근대(바로크 시대)로 접어들면 아래와 같이 계량화에 대한 욕망이 본격화되며 지배적인 흐름이 된다. 지금의 시선으로 보면 맞지 않다는 의견이 더 많겠지만(이것도 내 개인적인 의견일까). 

- The complete list is transcribed here from Manlio Brusatin:Histoire des couleurs (Paris: Flammarion, 1986, pp. 103-104), reproduced in Elisabeth G. Holt Literary Sources of Art Histor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7), pp. 415-416 (위키피디아 '로제 드 필' 항목에서 옮김. 해당 항목에 가면 각 미술가들마다 링크가 있어 개별 화가들을 확인할 수 있다) 

 

색채 논쟁이라고는 하나, 소묘와 색채를 대립관계로 보기 시작하자, 이것은 미술 작품의 경향을 파악하는 하나의 지배적인 기준이 되었다. 가령 이탈리아 르네상스에서 피렌체(소묘)와 베네치아(색채)를 비교한다거나, 더 나아가 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비교할 때에도 이 기준을 적용한다. 이는 현대 모더니즘에서 적용되어 추상형식주의와 추상표현주의로 이어진다. 이러한 분석이 다소 거칠긴 하나, 미술사 전반을 한 눈에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는 점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

 

****

사비에 바랄 이 알테Xavier Barral I Altet의 <<미술사 보는 눈 Histoire de L'Art>>를 서가에서 꺼내 조금 읽다가 메모한 글을 블로그에 올린다는 것이 좀 수습하기 어려운 지경이 되었다. 그 동안 미술사 공부를 거의 하지 않았던 탓에 기억도 가물가물하다. 한창 공부할 때와 달리 요즘은 인터넷에 정말 많은 정보들이 올라와있다는 걸 새삼 깨닫는다. 참 공부하기 좋은 시대다. <미술사 연습 1>이라는 제목을 단 이유는, 메모하면서 이런 식으로 나도 정리를 해볼까 한다. 이런 자료는 한글로 된 것이 거의 없어서 전문적으로 공부하는 이들에게도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