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글 2

한국 사회에서의 리더, 혹은 신분제 사회

한국에선 대체로 마트 계산원들이 잘못된 계산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마트 관리자가 누구더라도 소비자가 상품을 구입하는 단계에서 계산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서구에서는 마트 계산원들은 계산기에만 의존한다(고 들고 읽었다). 그래서 마트 관리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마트 관리자는 잘못된 계산을 찾고 그 원인을 분석한다. 대수롭지 않은 차이라고 여길 수 있고 조금 더 오해를 한다면, 그만큼 한국 사람들이 똑똑하다고 여길 수도 있겠다. 그런데 이것이 사회 시스템 전체로 확대되면 큰 문제가 된다. 일선 학교에 가서 큰 소리 치는 학부모들의 문제나 동장이나 시장, 심지어 대통령이 누가 되더라도 이 사회는 이대로 돌아갈 것이라고 여기는 태도로 이어진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심각한 건 정치 리..

불안

휴가를 내어도 마음은 불안했다. 전화가 무서웠다. 예전엔 이 정도까지 아니었다. 현대인 대부분은 이럴까. 아마 대부분 이럴 것이다. 불확실성은 우리의 불안을 증폭시킨다. 강조되는 불확실성. 연역법의 시대가 지나고 귀납법의 시대가 되었다. 합리론은 폐기되고 경험론이 주류가 되었다. 하지만 경험론이 강조하는 불확실성은 인간 이성의 오만함을 경고하지만, 현대 자본주의는 그 오만함을 지탱하기 위해 합리적 이성(?)이 결정 가능한 세계를 제한하고 이 안에서의 합리적 결정을 위한 다양한 이론들을 등장시킨다. 그러면서 한 쪽에서는 현대 사회의 복잡성을 강조하며 그 복잡성 위로 수학을 이야기한다. 아무 것도 결정되지 않았고 결정할 수 없다는 경험론의 시대에 복잡성을 강조하며 이를 해결하고 결정할 수 있다고 밀어붙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