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성이란 우리의 출신배경, 언어, 국적이 타자의 존재로부터 자주 우리에게 보호막이 되어줌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해 얻게 되는 확실성에 안주하지 않고 이를 넘어서는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편성은 또한 대외 정책이나 사회 정책과 같은 문제에 대해서도 인간적 행위에 대한 단일한 규준을 찾아내고 이를 유지하고자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가 정당한 이유 없이 야기된 적의 침략에 대해 비난한다면, 우리는 또한 우리 정부가 더 약한 집단을 침략할 때 똑같이 비난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지식인은 자신의 언행을 규정하는 어떠한 법칙도 알지 못한다. 세속적 지식인들에게는 확고한 인도자로서 경배하고 숭배해야 할 어떤 신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 에드워드 사이드, <<지식인의 표상>> (최유준 옮김, 마티) p. 11
나이 들어 뒤늦게 알게 되는 학자가 있다면, 에드워드 사이드이다. 대학 시절엔 그저 '오리엔탈리즘'의 저자로만, 포스트모더니즘 열풍 속에서 읽혀진 학자들 중 한 명으로 알려졌지만, 실은 그는 그런 유행과는 무관한 전통적인 인문주의자였다. 몇 년만에 에드워드 사이드의 책을 읽기 시작했고, 위 문단을 읽으면서 잠시 멈추었다.
보편성이라는 단어는, 어딘지 모르게 보수적인 느낌이 풍기지만, 21세기 한국에선 저 단어마저도 종북좌파로 오해될 것이다. 실은 권력의 지원을 받는 미디어에 의해 우리가 알고 있다는 단어들의 의미나 배경은 더럽혀졌다. 그렇게 더럽혀진 단어들은 사람과 사람 사이로 전파되며 무비판적으로 이해되고 수용된다. 노무현 정부가 미디어와 대립각을 세우며 서방의 자유주의자들이 하듯 다양한 토론과 논쟁 속에서 보다 나은 방향을 나아가고자 하였다면(그러나 그 정부는 모든 미디어로부터 왕따 당했다, 심지어 진보적이라 불리던 한겨레나 프레시안으로부터도!), 그 이후 들어선 이명박 정부부터는 교묘하게 미디어를 장악했다, 그리고 미디어는 권력 앞에 아무 소리도 못했으며, 기자들은 자랑스럽게 '기레기'가 되었다. 박근혜 대통령 앞에선 그 어떤 질문도 못하는 **들이 야권의 대선 후보들 앞에선 기를 세우고 질문을 해댄다.
'보편성이란 인간적 행위에 대한 단일한 규준을 찾아내고 이를 유지하고자 노력해야 함을 의미'하지만, 21세기 한국 사회에선 철없는 이상주의처럼 여겨진다. 나에겐 참 보수적으로 읽히는 저 문장이, 한국에선 참 좌파스럽게 이해될 것이라 생각하니, 참 슬프다. (아니면 내 오해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