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4

어디에나 있고 무엇이든 하는 알고리즘 이야기, 문병로

어디에나 있고 무엇이든 하는 알고리즘 이야기문병로(지음), 김영사  얇은 책이지만, 나같이 컴퓨터공학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이들은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이다. 업무로 인해 지금도 공학을 전공한 개발자와 이야기하고 데이터베이스 구조나 프로그램 로직 설계를 같이 검토하지만, 뭔가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느낌이 들어 최근에는 파이썬 책까지 샀다.  알고리즘Algorithm은 무함마드 이븐 무사 알 콰리즈미라는, 9세기 이란 아바스 왕조 시대 대수학의 고전을 쓴 학자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 때의 아랍은 정말이지, 넘사벽이었다. 이 책은 알고리즘의 학문적 배경을 이야기하면서 간단하게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가를 설명한다. 책을 읽으면서 노트한 걸 옮겨놓는다.  여행하는 세일즈맨 문제 traveling sal..

알고리즘이 지배한다는 착각, 데이비드 섬프터

알고리즘이 지배한다는 착각 데이비드 섬프터 David Sumpter(지음), 전대호(옮김), 해나무 우리는 언제나 지독한 편견과 싸운다(안타깝게도 싸우지 않는 사람이 더 많을지도 모르겠다). 세상이 강요하는 편견, 인류 문명이 강요하는 편견, 우리의 생물학적 특성이 강요하는 편견, 우리의 부모나 일가친척, 선생들과 친구들이 강요하는 편견, 그리고 그 편견들 속에서 자라난 우리 스스로에게 강요하는 자신만의 편견. 그렇다면 편견 아닌 것이 어디 있을까? 하지만 우리는 그것이 잘못된 것이라면 정상적인 지성을 가지고 있다면 분명 고치려고 할 것이다. (아! 한국사회는 얼마나 많은 이들이 이 편견을 고집하고 있는지!) 이 책은 페이스북이나 구글의 서비스, 그리고 인공지능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러한 서비스나 AI를..

페이스북: 자본주의적 알고리즘의 어두운 미래

며칠 전부터, 아니 지난 주부터였나. 월스트리트저널에서 페이스북에 대한 비판 기사를 쏟아내기 시작했다. 상당히 의외라고 할 수도 있겠고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일테다. 그러나 그 기사는 국내 IT/스타트업 전문 저널이나 아는 사람들끼리 공유되는 기사에 불과했다. (그런데 왜?) 바이라인네트워크 - 월스트리트저널의 ‘페이스북 저격’…5가지 잘못 뭐길래 그리고 며칠 전 프랜시스 하우건이 미 상원의회 청문회에 나와 페이스북의 문제점을 이야기했다. 페이스북이 얼마나 우리 사회의 갈등과 분열을 조장하는지, 인스타그램이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 그 문제에 대해 페이스북은 해결할 수 없는 조직임을 가감없이,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언어로 이야기하자 발칵 뒤집혔다. 실은 이 문제에 대해 내가 최초로..

예술을 이해하는 컴퓨터

미시간에 있는 로렌스 공과대학의 컴퓨터 과학자인 Lior Shamir와 Jane Tarakhovsky는 최근 흥미로운 연구를 진행했다. 컴퓨터는 예술을 이해할 수 있는가?(can machines understand art?) 그리고 연구 결과, 가능하다는 것. 마치 예술사가들이 예술 작품의 연관 관계를 찾고 분석하고 평가하듯이 컴퓨터도 특정 작품의 연결 고리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For instance, the computer automatically placed the High Renaissance artists Raphael, Leonardo Da Vinci, and Michelangelo very close to each other. The Baroque painters Vermeer, R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