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3

일을 잘 한다는 것

일을 잘 한다고 평가할 때는 여러 가지 기준이 있다. 그런데 일을 잘 한다는 평가를 받는 이들 중 일부는 배려심이 없고 갈등을 만들며 자신의 것만을 지키려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나는 이 경우 확실하게 일을 못한다고 평가한다. 업무를 수행하고 난 다음 결과도 중요하지만, 그 업무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을 하는 과정도 중요하다.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과정이 좋았다면 다음 기회를 노려볼 수 있지만, 결과가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과정이 엉망이라면 다음 기회를 노릴 수 없다. 왜냐면 그 업무를 수행해던 멤버들 대부분은 뿔뿔히 흩어질 테니까. 결과만을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접근은 자신이 할 수 있는 범위의 일만을 고르게 된다. 불투명하고 명확하지 않은 일은 배제한다. 위험이 보이는 곳에는 가지 않는다. 그리..

구글의 OKRs(Objectives and Key Results)

마커스 버킹엄과 커트 코프만은 (국역본: 유능한 관리자) 에서 관리자와 리더는 다르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나는 관리자인가, 리더인가?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 움직여야할까? 이 질문 앞에서 '나는 관리자이면서 동시에 리더의 역할도 수행해야 해'라고 되뇌인다. 하지만 관리자로서의 행동과 리더로서의 행동은 다르다. 따라서 이 둘의 충돌 없이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노력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조직 생활을 하면서 늘 고민하게 되는 것이 관리자로서의 역할 수행의 상당 부분을 조직 시스템으로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고민이다. 얼마 전에 읽은 "How Google Grades Employees, And How You Can Use The Same System At Your Company"에서 나는 Google..

구글에서의 경쟁 문화

작년 가을에 읽은 기사인데, 메모해둘 필요가 있어 여기 옮긴다. 머니투데이의 유병률 기자의 인터뷰 기사로, 구글에서 근무하고 있는 이준영씨(구글 검색팀 테크니컬리더 매니저)를 만나 구글의 '경쟁'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아래 인용문들은 기사 내 이준영씨의 언급들이다. 기사: 경쟁이란 무엇인가? - [유병률의 체인지더월드]韓 첫 구글러 이준영씨 "구글은 전쟁터" "이 곳에서는 360도 성과 평가를 하지요. 전후좌우 바로 옆에서 평가를 합니다. 내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못하는지 동료들이 적나라하게 리포트를 하고, 내가 그걸 다 받아 보게 됩니다. 이게 왜 무서운가하면, 상사 눈을 속일 수는 있어도, 동료들 눈은 속일 수가 없거든요. 발가벗겨지는 느낌이에요. 그러니 알아서 끊임없이 자기 계발을 하는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