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충일 국립묘지엘 간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하철에서부터 사람들이 빼곡했다. 동작역에서 나와 보니, 경찰관들이 임시 횡단보도를 만들어 주고 있었다. 유가족들도 있었고 군인들도, 경찰관들도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오가고 있었다. 현충원 여기저기를 두리번 거리면서, 위패봉안관에 갔다. 평소에는 개방하지 않는 곳이지만, 현충일 유가족들을 위해 개방하고 있었다.
위패봉안관, 죽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나, 어디서 어떻게 죽었는지, 유골은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 위패만 모아둔 곳이다. 위패봉안관 옆에선 유가족 유전자 시료 채취를 하고 있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유해를 발굴하게 되면 그 뼛조각과 유가족의 유전자와 비교해 유족을 찾아주는 것이다. 유해발굴감식단의 활동에 대해 별 관심이 없었는데, 위패들만 모인 그 공간 속에 그것이 얼마나 소중하고 감사한 활동인가를 깨닫게 되었다.
먹먹해졌다. 어느 유가족은 이름 있는 곳을 수건으로 닦아내며 고개를 숙이기도 했다. 십대의 나이로 전쟁터에 나간 이들도 있을 것이다. 지금 살아있다면 팔구십이 되었을 나이다. 그렇게 지나는 세월 속에 잊혀진다는 것이, 그리고 그것이 유가족, 혹은 직계 후손의 관심으로만 머물지 않을까 염려스러웠다.
현충원 안에는 '문재인 퇴출, 박근혜 석방' 이라는 티셔츠를 입은 이들이 눈에 띄었다. 절로 한숨이 나왔다. 책에서 말하는 바, '타자에의 배려'란 정말 어려운 일이다. 사람들이 다 자기같지 않다고 생각하겠지만, 도가 지나치는 이들 앞에선 분노를 참을 수 없다. 어쩌면 사회병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되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언뜻 들었지만, 실은 우리 사회에 저런 사람은 너무 많다.
현충원은 꽤 넓어서 사람들이 와서 쉴 수 있는 공간이 많다. 개울도 있고 연못도 있다. 오랜만에 니콘 카메라를 들고 나갔는데, 니콘 센터에 가서 AS를 받는 것이 좋겠다며 같이 간 이가 조언해 주었다. 찍은 사진들이 좋지 않다는 생각을 늘 했는데, 내가 이 도구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했다는 생각에 낭패감이 밀려들었다. 십 수년 전에 꽤 많은 금액을 주고 구입한 녀석인데.
한국 전쟁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실은 어떻게 연구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지금 / 여기에 미치는 영향이 클 테니, 조심스러워하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그런 이유로 너무 왜곡된 느낌도 있다. 한국 현대사에서 그렇지 않은 영역이 어디 있으랴.
같이 갔던 이들과 현충원을 한 바퀴 돌고 나와서 조금 걷고 뛰어 동네 초밥집에서 낮술 한 잔을 했다. 지금의 평화가 과거의 아픔에 기대고 있었다. 우리 인생도 그런 것일 게다.
장승배기 역 인근의 초밥집, 모듬 사시미다. 몇 분과 번개 모임을 할까 하는 생각만 늘 하는 곳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