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Thinking/조직, 리더십 74

존경받는 기업들은 어떻게

많은 회사와 조직을 거치면서 나의 성장에 도움이 되었던 것은 힘들게 유지하면서 끝내 실패할 수 밖에 없었던 어떤 일들이었다. 그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노력해야만 했고 변해야만 했다. 현재란 성공의 누적이 아니라 실패와 상처의 누적이었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기업이 걸어오면서 성공이든 실패든 그러한 사업 경험이 축적되어 새로운 인력들에게 전수되어야 한다. 이를 지식 경영(knowledge management)이라고 할 수 있겠다. 세계적인 인사조직 컨설팅 회사인 ‘헤이그룹’(Hay Group)과 경영지인 포춘에서는 해마다 ‘가장 존경받는 기업(World's Most Admired Company)’를 조사해 발표한다. 이 리스트를 만들기 위해 그들은 아래의 항목들을 조사한다. 1. 우수인력을 모집하고..

주면 줄수록 부자가 된다

주면 줄수록 부자가 되는 신기한 이야기 '레이첼의 커피'라는 책에 나오는 내용이다. 오래 전 교보문고 월간 책자에서 읽은 것인데, 블로그에 노트해둔다. 참 중요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하기 어려운 일이다. 아래 것들을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 우리는 많은 것들을 잃고 얻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래서 열심히, 최선을 다해서 살아야 된다. 성공의 1법칙: 가치의 법칙 "당신의 진정한 가치는 자신이 받는 대가보다 얼마나 많은 가치를 제공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성공의 2법칙: 보상의 법칙 "당신의 수입은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그 도움이 그들에게 얼마나 효과적이냐에 따라 결정된다." 성공의 3법칙: 영향력의 법칙 타인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다른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에 관심을 보일 때 자신이 필요한 것..

강점 = 재능 x 투자

과연 내 재능은 어디에 있을까. 그리고 나는 그 재능에 얼마나 투자하고 있을까? 삼십 후반이 되어서도 내 재능이 뭔지 모르겠고 밥벌이와 관련된 내 재능에 대해서도 종종 깊은 불신을 가지기도 한다. 그렇다고 해서 절망하거나 뒷걸음질 치지는 않는다. 대신 갖은 실패와 고초로 인해, 적어도 나는 어떤 일은 나와 잘 맞지 않는다는 것 정도는 조금이나 알게 되었다는 것에 사소한 위안을 얻는다. 결국은 내가 어디에 재능이 있는가를 알기 위해선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경험을 쌓아보아야 하지 않을까? 이는 갖은 모험과 고초, 혹은 감당하기 어려운 정도의 실패와 좌절 속에서 결국 내 길을 찾아가는 건 아닐까? 무책임한 말인 줄 알지만, 나보다 어린 사람들을 만났을 때 내가 해주는 조언은 고작 이것이다. 많은 경험을..

시간 관리와 업무 관리

지난 연말부터 규칙적인 생활을 하게 되었다. 특별한 이유가 있었던 건 아니지만, 변화가 요구되는 시기이긴 했다. 간단하게 한 가지 규칙을 바꾸었는데, 그 효과가 있었다. 먼저 충분히 자기로 했다. 나이가 들고 나는 '하루 4시간 자고 성공했더라'는 식의 성공담을 귀 따갑도록 들었다. 새벽에서 자서 새벽에 일어나는 유명인들을 보면서, 저렇게 해야만 된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가지게 되었던 것같다. 하지만 그것을 따라하겠다는 생각은 매우 잘못되었다. 억지로라도 고쳐야 되는 것이 있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있는데, 나는 그 둘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일찍 일어나기 위해서는 일찍 잠자리에 들어야 한다. 아침형 인간이 되기 위해선 늦게 자면 안 된다. 새벽 1시에 자서 아침 6시에 일어나는 사람..

GE 변화 리더십 101, 심재우

GE 변화 리더십 101 - 심재우 지음/랜덤하우스코리아 몇 년 전 심재우 대표에게 원고 청탁을 했더니, 새로 나온 책 2권을 보내주셨다. 이 책은 그 중 한 권이다. 나는 이 때 한국 굴지의 텔레콤 회사의 사내보를 제작하는 곳의 기획 팀장으로 있었고, 여러 기업체의 강의나 컨설팅을 나가는 분들에게 자주 원고 청탁을 하고 있었다. 자주 경영/실용 서적을 읽었고 외국의 경영 아티클도 빠뜨리지 않고 있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건성으로 읽었던 건 아닌가 싶다. 실은 방법은 다 알지만, 누구 그것을 언제, 어떻게 실행(execute)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린다. “평범한 사람도 성공 법칙과 실천 방법을 따르면 성공하여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는 스티븐 스콧의 말처럼, 법칙과 방법을 숙지하고 그대로 옮기면 된다...

전문가의 특징 - 카네기 연구소

서가에 책을 넣기 전에 기억해 둘만한 내용을 노트해 둔다. 데일 카네기 연구소에서 전문가(Professional)의 특징을 7가지로 정리했다고 한다. 1. 변화를 선도하는 사고 능력 (forward thinking) 변화를 따라가는 사람들이 있다. 하긴 변화를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벅찬 현대다. 그러나 이런 세상 속에서도 변화를 선도하는 사람들이 있다. 변화를 선도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지를 깊이 생각해볼 문제다. 2. 관계지향적 (relationship-oriented) 인맥이 중요하다. 이는 학연, 지연, 혈연 같이 폐쇄적인 개념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이를 넘어선 상위의 개념으로서 사람들 간의 관계를 소중하게 여겨며, 사람들과의 관계가 가지는 가치를 알며, 그렇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학연, 지..

내일도 여러분은 나를 사랑할 것인가요?

 Will you (still) love me tomorrow? 내일도 당신은 나를 여전히 사랑하고 있을 건가요? 꼭 대중가요 제목이나 가사 같은 이 제목은 부즈 앨런 해밀턴의 CEO인 랄프 W. 슈레더 박사의 리더십과 관련된 포드캐스트의 제목이다. 실제 캐롤 킹의 노래 제목이기도 하다. 그는 이 질문이 우리의 하루하루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매일 만나는 회사 상사나 동료, 고객, 학생이나 교수, 심지어 가족에게까지 이 질문을 할 수 있다. 그는 이렇게 단언한다. Effective leadership is a two-way street. Yes, 아니면 No. 이것이 효과적인 리더십이 마주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그는 말한다. 그리고 Yes를 듣기 위해서는 다른 이들과의 관계에 투자하며, 우리 자..

사업계획서 개요(Outline for a Business Plan)

* Ernst&Young에 작성한 문서를 참조로 하여 내 생각을 덧붙였다. 많은 사람들이 사업 계획서를 어떻게 써야 하는지 궁금해 한다. 사업 계획서 작성 시 가장 중요한 점은 그 사업계획서를 보는(읽는) 이를 '설득(납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자기 자신을 논리적으로, 재무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어야 한다. * 사업 계획서의 목차에 너무 연연해 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각각의 요소들은 다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가 자주 볼 수 있는, 20~30페이지의 파워포인트 사업 계획서는 마땅히 포함되어야 할 많은 요소들을 빠뜨린 경우가 대부분이다. * Ernst&Young의 'Outline fot a Business Plan'에는 사업 계획서에 포함되어야하는 요소들을 자세하고 분명하게 표현하..

기업문화혁신전략, 에드거 H.샤인

기업문화혁신전략(The Corporate Culture Survival Guide) 에드거 H.샤인(지음), 딜로이트컨설팅코리아(옮김), 일빛 기업 규모와는 상관없이, 경영은 시간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시장은 이미 글로벌 시장 하나로 통합되었고, 이제 국가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몇몇 제품이나 서비스 시장만 개방되지 않았을 뿐이다. 그리고 이 시장마저 개방될 것이다. 자금 압박은 심해지고 위기 상황을 타개할 속 시원한 해법은 보이지 않는다. 이럴 때 짐 콜린스가 말한 바 있는 위대한 기업은 중소기업, 신생(대)기업에게는 신기루에 가깝지 않을까. 또한 짐 콜린스는 이런 기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사람(people)’이라고 하는데,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요즘 필요한 사람을 구하기란 하늘의 별..

성공적인 리더의 특성

성공적인 리더의 특성 1. 문제 해결 능력 - 지적 역량 및 전략적 집중 - 정확한 판단 - 날카로운 통찰력 2. 기질 및 동기부여 능력 - 왕성한 감수성 - 인재와 사업 가치에 대한 헌신 - 성숙된 파워의 활용 3. 의사 소통 능력 - 내/외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관리 - 기업 비전에 대한 명쾌한 전달 4. 통찰 능력 - 자신의 강/약점에 대한 이해 - 정확한 조직 Needs의 파악 5. 리더십 - 변화에 대한 역동성 설계 -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 도출 - 기대에 대한 명확한 정의 제공 전략적 상황에 적합한 리더의 특성 Growth - 기존의 전통과 관습을 뛰어넘는 전략적 대안 제시 - 변화를 쉽게 발아들이는 유연성 - 미래의 비전을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 - 요구되는 능력의 개발 의지 - 믿음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