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독서모임을 시작한다. 요즘 ‘독서경영’이라는 단어가 유행이기도 했고, 보스와 여러 번의 이야기가 오고 갔지만, 실제 시작되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 사이 혼자 팀원 몇 명과 작게 시작해볼 생각은 가지고 있었으나, 이것도 또 하나의 일이라 시작 시점을 계속 뒤로 밀리고 있었다. 그리고 그러던 차에 회사에서 공식적으로 시작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첫 모임으로 약 7년 이상 회사에서 직원들과 책 읽기를 해온 협력사 사장님을 모시고 이야기를 나누었다. 경영의 관점에서 ‘독서’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하지 않았던 탓에 그 분의 이야기는 의미심장했고 새로웠다. 이에 오고 간 이야기를 간단하게 요약해본다.
사내에서 독서 모임을 하고 싶다면, 아래의 관점을 고려해보도록 하자.
2. 세상에는 형편없는, 쓰레기 같은 책들이 난무한다. 하지만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은 있고, 이는 아예 목록으로 정리되어 공유되고 있다. 그러니 책을 고르는 기준 같은 것에 고민할 필요가 없다.
3. 이랜드는 독서 경영의 대표적인 회사로, 승진 시험으로 ‘독서’가 활용될 정도다.
4. 최초 독서 모임의 반응은 이랬다. “다 아는 내용 아니예요”, “어딘가에서 본 듯한 내용인데요.” 였다. 즉 책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가지지 못한다면, 책에서 아무 것도 얻지 못한다.
5. 발제자를 정해야 된다. 그리고 발제자는 발제 자료를 준비해야 된다. 발제 자료가 없으면 농담만 하다 모임이 끝나기 일쑤다.
6. 독서모임은 1년에 1권 읽는 사람을 기준으로 기획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내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인다.
‘요즘 같은 스마트 시대에 책을 왜 읽을까’하는 질문에 너무 얽매이지 말자. 책을 ‘정보의 원천’으로만 받아들일 때 이런 질문을 하게 된다. 단편적인 정보는 책보다 인터넷이 낫다. 하나의 정보는 다른 정보와 연결되어 있거나 두 개, 세 개 이상의 또 다른 정보로 쪼개질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정보가 아니라 정보들의 관계다. 질서이고 문화다. 한 사람의 지식이 아니라 그 지식을 이루게 된 배경과 가치관, 세계관이 더 중요하다. 마이클 센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는 ‘생각하지 않는 대학생들에게 생각 좀 하고 살아라’고 훈계하는 책이다. 그리고 그 생각이 위대한 철학자들이 했던 생각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보이지 않게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있는 것이다.
책 읽기는 사고력을 길러주며, 분석과 통찰을 가져다 준다. 이는 책에 담긴 내용 때문이 아니라 책을 읽는 태도에 달려 있다. 좋은 책을 고르고 그 책을 깊이 있게 읽으며 서로 다른 주장들에 대해 심사숙고할 수 있으며,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기르는 것이다.
이는 경영에서도 마찬가지이지 않을까 싶다. 누군가의 이야기를 귀담아 들고 받아들이며 서로 이해하려는 태도,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실행하고 추진하며 팀웍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도 책을 읽는 과정과 비슷한 것이다. 너무 심한 비약일까.
읽을 만한 기사
토픽-독서경영으로 불황 뚫는다 http://er.asiae.co.kr/erview.htm?idxno=2009010207570854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