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나야 늘상 술을 마시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 하길 즐기다니, 그 날도 예술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내가 좋아하는 한국 작가의 작품을 두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데, 파리에 정착해 사는 선배가 작품이 좋지 않다고 했다(그 때 숙소에 그 작가의 작품이 있었다). 이유인 즉, '분명한 메시지가 없다'는 것이었다. 나는 그의 작품이 가지는 '유려하고 감미로운 형식, 어딘가 모르게 회상적 양식처럼 보이는 초상화'만으로도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평했다.(이 작가에 대해서는 다음에 확실히 언급할 예정이다)
결국 아무런 결론도 내리지 못했지만, 한동안 프랑스 정부의 지원을 받고 예술가 생활을 했던 전직 화가였던 선배의 견해를 나는 무시할 수 없었다. 적어도 내가 보는 미술보다 뛰어난 작가들이 보는 미술이 한 발 앞선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아닐 수도 있지만).
후기 르네상스 시기의 알베르티는 어떤 작품이 예술이 되기 위해서는 '이스토리아istoria'가 있어야 된다고 믿었다. 우리말로 옮기면 '내용','이야기' 정도 되는 이 단어는 현대 미술이 오기 전까지 미술의 규칙처럼 여겨졌다. 그런데 인상주의로 오면서 '내용'은 '형식' 속에 녹아들어 '형식=내용(메시지)'가 된다. 세잔의 풍경화는 그 형식 자체(표현 기법이나 화면의 구성)로만으로도 충분히 파괴적인 메시지를 가질 수 있었다.
그러자 추상미술이 예술의 대세를 이루게 되었다. 20세기 후반의 미술은 확실히 '내용'보다 '형식'에 더 치중한다. 그리고 '형식'이 어느 수준 이상의 메시지를 담기 위해, 도리어 자극적이고 충격적인 '형식'에 매달리는 경향까지 보인다.
사정이 그렇다보니, 나도 형식과 내용의 문제에 민감해질 수 밖에 없다. 그러다고 오늘 아침 밀린 뉴스레터들을 보다가 마크 곤잘레스Mark Gonzales의 비디오를 보았다. 그는 이미 스케이트보드 예술가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작가이다.
1969년에 태어난 그는 전문적인 스케이트보더이면서 스트릿 스케이트보딩street skateboarding을 주도하였다. 이 흥미로운 예술가는 시집도 내고, 자신의 퍼포먼스를 오래된 비디오테잎(VHS)에 담아 내놓기도 하고 뮤직비디오에 참여하기도 하며, 다양한 장소에서 스케이트 보딩을 하면서 정치적 메시지를 표현하기도 한다.
스케이드 보드 자체는 예술적 형식을 가지기 보다는 일종의 놀이이거나 스포츠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 메시지를 담으니, 예술이 되어버린 셈이다. 더구나 그가 출연한 뮤직비디오("West Coast" by Jason Schwartzman's band, Coconut Records)에서는 독일의 Stadtisches Museum에서 스케이트 보드를 탄다.
이제 예술은 형식보다는 내용에 치중해야 되는 시기가 온 것일까? 그래서 적절한 내용만 담기면 그것은 예술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일까? 한 번 생각해볼 문제이다. 그리고 많은 대중 예술가들도 한 번 고민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다. 충분하고 가치있는 메시지만 담아낼 수 있다면, 그 장르에 대한 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테니 말이다.
"West Coast" by Jason Schwartzman's band, Coconut Records
- Skateboard Performance by Mark Gonz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