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다: 데리다 철학의 개론적 이해 Jacques Derrida zur Einführung
H. 키멜레(Heinz Kimmerle) 지음, 박상선 옮김, 서광사, 1996
데리다에 대해선 대학 시절부터 많은 논문과 책을 읽었지만, 늘 모호하기만 하다. 그래서 이 책을 읽었지만, 결론은 같다. 그의 방법론 - 미국에선 흔히 '해체'라고 부르는 - 에 대해 동의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그래서 어쩌자는 것인가라는 질문이 늘 남는다.
물론 "차연의 철학"이라는 명칭이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이 명칭은 - 아도르노에 의해 발전된 동일화하는 사유(identifizierendes Denken)에 대한 비판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차연[다름성]을 생각한다는 것은 동일화시키지 않음, 즉 다른 것 혹은 구별되는 것을 같은 것이나 동일한 것으로 여기지 않음을 뜻한다. 그렇기 때문에 차연적 사유는 통일적이고 그 자체로서 증명할 수 있는 철학적 흐름으로 특징짓는 일은 사실 그 의미에 거슬리는 일이다. 차연적 사유는 그 자체 다른 것일 뿐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 속에 있는 것이지 항상 같은 것일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더 정확하게 데리다의 차연의 철학이라고 말 때 그것은 동일한 것이거나 동일한 것으로 머물러 있지 않고 그 자체가 끊임없이 바뀌는 철학이다. - 15쪽
끊임없이 바뀌는 게 철학이라니!
차연은 "흔적의 유희"로 완성되고 있으며, 의미도 없고, (눈 앞에 있는 물건처럼) 있는 것도 아니다. 이 유희에서 스스로-자기와-구별됨(Sich-von-Sich-Unterscheiden)은 하나의 흔적으로서 이 흔적은 또다시 지워지는 흔적이다. - 93쪽
데리다는 자주, 나에게 문학 비평처럼 읽힌다. 그는 텍스트 안으로 텍스트 행간 사이에 숨은 의미, 혹은 의미의 부재를 흔들며 해체한다. 그에게는 글쓰기가 첨예한 문제로 떠오른다. 하긴 20세기 후반 프랑스 철학만큼 '개념'과 '개념의 해체'에 매달린 적도 없으리라.
책의 폐쇄성(Geschlossenheit [끝맺혀짐, 닫혀짐])을 두 배로 늘림으로써 사람들은 그 폐쇄성을 부수고, ... 그 순간부터 ... 책 속의 책을, 원천 속의 원천을, 중심 속의 중심을 읽을 수 있으므로 그 때부터 심연(Alggrund [바닥이 없음])이, 무한히 다양화되는 끝없음(Un-grund)이 시작된다. 다른 것이 같은 것에 있다[있게 된다].
- 데리다, <<글쓰기와 차이>> 중에서 (65쪽에서 재인용)
데리다 철학에 대해 궁금한 이들에게 이 책은 값진 선물이 될 수 있겠지만, 데리다는 철학자다. 아니, '철학서에 대한 해체 비평가'라는 표현이 어울릴 지도 모르겠다.
우리가 철학이라고 할 때, 그건 건축적(구축적)임을 뜻한다. 그러나 데리다는 반-건축적이거나 탈-구축적이다. 그는 그것을 지향했고 철학의 목표이기도 했다. 그래서 이 책은 몇 개의 단어로 모이긴 하지만, 체계적이지 않고 도리어 병렬적이고 동어반복적이다. 데리다의 다양한 전략과 실천들을 간략하게 보여주면서 데리다가 일관되게 이야기한 '차연'의 의미를 되새긴다.
내가 이 책을 구입할 당시(1998년 경으로 기억된다), 데리다 철학에 대한 소개 서적도 얼마 없었지만, 그나마 이 책이 제일 나았다. 지금은 어떤 지 모른다. 그 때나 지금이나 이 책이 어려운 철학책임에 분명할 테니, 일반 독자에게 권할 책은 아니다. 아마 지금도 데리다 철학 소개서로 손색이 없을 테지만, 굳이 지금 데리다를 읽어야 할 필요가 있을까 싶다. 이는 인문학 전공자에게도 마찬가지일테다. 차라리 그 시간에 서양철학사를 읽거나,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을 추천한다. 아니면 아도르노의 다른 책을. 이 책을 옮긴 박상선의 말대로 데리다는 아도르노와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이며 '아도르노의 사상을 극단적으로 밀고 나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Jacques Derrida (1930 - 2004)
데리다에 대한 소개는 아래 글이 좋을 듯 싶어, 옮긴다.
[21세기에 보는 20세기 사상지도]형이상학의 폐쇄적 원리 해체 - 진태원(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