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들의 우주/이론

롱기누스의 숭고미 이론, 롱기누스

지하련 2018. 2. 5. 01:38




롱기누스의 숭고미 이론

롱기누스(지음), 김명복(옮김),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2년 




수사학 책이다. '숭고sublime'에 현혹된 셈이다. 역자인 김명복 교수에 의하면, 숭고의 개념은 수사학에서 시작되어 문화와 예술 전반에, 그리고 자연에까지 그 영역을 확장되었다고 한다. 그러니 내가 알고 있는 '숭고'(예술과 미학에서의)와 롱기누스가 이야기하는 바 '숭고'(수사학에서의)는 다른 것이다.


이 책은 웅변술, 저술에서의 표현과 수사법에서의 숭고에 대해서 논의한다.  


진정한 숭고미란 내적인 힘이 작용함으로, 우리의 영혼이 위로 들어올려져, 우리가 의기 양양한 고양과 자랑스런 기쁨으로 충만하게 되고, 우리가 들었던 것들을 마치 우리 자신이 그들을 만들어냈던 것과 같이 생각하게 만드는 데 있다. - 29쪽 



그래서 철학적인 견지에서의 숭고라든가 조형예술에서의 숭고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책을 얇고, 읽는 재미가 없는 것도 아니어서, 지금으로부터 거의 이천년 전에도 그랬구나 하고 중얼거리며 읽는다. 말하는 방식이나 문장의 서술에 있어서의 '숭고'가 이 책의 주된 테마이며, 이 테마가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는데, 그 흔적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숭고의 역사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역자의 해설이나 뒤편에 실린 워즈워드의 글도 좋다. 롱기누스도 간간히 조형예술에 대해 언급하기도 하나, 극히 일부분이다. 가령 아래의 부분 정도.



똑같은 관계가, 또한 회화에서도 일어난다. 비록 색으로 재현되는 빛과 어둠이 똑같은 표면 위에서 나란히 존재하지만, 시야를 붙잡아, 눈에 띠게 보일 뿐 아니라, 더욱 더 가까이 있는 듯이 보이는 것은, 바로 빛이다. 그런 현상은 문학에서도 똑같이 일어나고 있다. 우리의 감정들과 숭고미의 개념들에 호소하는 것들은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유사성과 탁월한 수사들이다. 이들 탁월한 수사적 비유들은, 무엇보다도 우리의 주의를 끌여들여, 우리의 가슴에 호소하는 까닭에, 수사의 기교는 전혀 눈에 보이지 않는다. - 69쪽 



2002년에 출간된 책인데, 아직도 구할 수 있는 것을 보면 거의 읽히지 않는다고 말해야 할까. 실은 천병희 선생이 옮긴 롱기누스의 <숭고에 대하여>가, 문예출판사에서 나온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도 수록되어 있으니, 어떤 이들은 천병희 선생의 번역으로도 읽었을 것이다. 


옛날 책 읽기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 이 책은 권할 만하다. 그리고 그리스/로마 시대의 웅변이나 문학적 표현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롱기누스의 숭고미 이론 - 8점
디오니시우스 롱기누스 지음, 김명복 옮김/연세대학교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