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장 예술가와 사회
19세기의 특징
- 18세기에게 본격적으로 등장한 부르주아가 확고한 기반을 다짐
- 패트론 제도가 유명무실화됨: 19세기적 상황이라기 보다는 17세기부터 진전되어왔으나 18세기 후반부터 계급 갈등이 본격화되고 세속화가 첨예한 형태로 진행됨
- 이 상황 속에서 부르주아의 속된 취미에 봉사하는 예술 양식이 유행하게 됨
- 인상주의자들의 성장 배경을 형성함.
예술가의 자의식
- 현실과 이상의 갈등 속에서 자신의 예술 세계 속에서 예술적 이상을 구현하기 위해 현실 세계를 폄하하고 벽을 쌓아올림.
- “가령 셸리의 ‘민감한 식물sensitivie plant’, 비니(vigny)의 요람Moise, 보들레르의 거대한 날개 때문에 땅 위를 걷지 못하는 신청옹albatross 등이 이러한 예술가의 자의식, 예술가의 운명, 지위 등을 상징한다.”
- ‘상아탑tour d’ivoire’ : 생뜨 뵈브가 알프레드 드 비니의 생애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단어. 미적 은둔 생활을 위해 사회적 의무를 포기한 삶.
L’art pour l’art
테오필 고티에. “책은 젤라틴 수우프와 바꿀 수 없고 소설은 봉합흔적이 없는 한 컬레의 장화가 아니다.”, “나는 예술의 자율성을 믿는다. 나에게 있어 예술은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다. … “, “호머의 시, 피디아스의 조각, 라파엘의 그림은 도덕주의자들의 온갖 논문보다 인간의 영혼을 더 많이 고양시켰다.”
미의 종교religion de la beaute’ : 플로베르
esse est percipi (존재하는 것이 지각되는 것이다)
말라르메: 세계는 한 권으로 책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존재한다.
오스카 와일드 : 예술이 삶을 모방하기보다는 삶이 예술을 훨씬 더 많이 모방한다.
사실주의
후기 낭만주의적 경향으로 이해하는 학자도 있음.
빅토르 위고와 구스타브 쿠르베 : 과학과 진보에 대한 믿음.
졸라. “우리는 실험화학과 물리학을 가지고 있다.” <- 실험소설론.
사회적 책임.
위고. “예술을 위한 예술은 훌륭하다. 그러나 진보를 위한 예술은 훨씬 더 아름답다.”
콩트. “예술은 사실의 이상적인 재현이다. 그리고 예술의 목적은 우리의 완전성에 대한 감각을 함양하는 것이다.”
푸리에. 유토피아로 가기 위해 예술과 미는 필수 요건임.
프루동. “예술은 자연과 우리 자신의 이상화된 재현으로서, 그것의 목적은 인류의 신체적, 도덕적 완전성이다.”
러스킨와 모리스의 경우.
러스킨 : 미적 양식의 기능주의
“산업 문명은 인간을 기계로 바꾸어 놓았다.”
윌리엄 모리스: 장식적 예술. 바우하우스. 아르누보. 현대 디자인 개념을 만듦.
톨스토이.
12장. 오늘날의 전개 양상.
크로체와 형이상학자들.
크로체. 직관 = 표현. 따라서 “예술은 곧 표현”, 정서의 표현.
예술적 직관은 서정적일 뿐만 아니라 우주적이다.
콜링우드 : 크로체의 세계를 그대로 이어받음.
베르그송.
산타야나. 도덕주의자.
듀이. 정제되고 강화된 경험형태인 예술 작품과 일반적으로 경험을 구성한다고 여겨지고 있는 일상적 사건들 사이의 연속성, 행함과 겪음 사이의 연속성을 회복시키는 것, 이것이 과제이다.
미적 경험은 한 문명의 삶의 표명과 기록과 기념이며, 그 문명의 발전을 촉진하는 수단이다. 그것은 또한 한 문명의 질에 대한 최종적 판단이다.
기호학적 접근
다른 어떤 하나의 기호로서 기능하는 과정, 즉 기호화semiosis의 문제.
의식의 새로운 차원, 즉 자의식에까지 뚫고 들어갔으며, 기호sign와 지시체significatum (referent)를 구별해야만 수월하게 사고 할 수 있게 되었고 따라서 특징적이게도 기호론적 차원을 염두에 두면서 문제들에 접근하는 것 같다.
마르크스-레닌주의
플레하노프. 예술작품이 그릇된 관념에 기초해있으면, 내재한 모순이 필연적으로 그것의 미적 성질의 타락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재능을 입증받은 어떤 예술가라도 우리 시대의 위대한 해방적 이념들에 몰두함으로써 자신의 작품의 강렬도를 상당히 증폭시키게 될 것이다.
현상학.
예술작품은 “세계를 건립하고 대지를 생산해낸다”는 점에서 ‘단순한 사물’이나 유용한 사물(도구)과 구별된다. – 하이데거.
19세기의 특징
- 18세기에게 본격적으로 등장한 부르주아가 확고한 기반을 다짐
- 패트론 제도가 유명무실화됨: 19세기적 상황이라기 보다는 17세기부터 진전되어왔으나 18세기 후반부터 계급 갈등이 본격화되고 세속화가 첨예한 형태로 진행됨
- 이 상황 속에서 부르주아의 속된 취미에 봉사하는 예술 양식이 유행하게 됨
- 인상주의자들의 성장 배경을 형성함.
예술가의 자의식
- 현실과 이상의 갈등 속에서 자신의 예술 세계 속에서 예술적 이상을 구현하기 위해 현실 세계를 폄하하고 벽을 쌓아올림.
- “가령 셸리의 ‘민감한 식물sensitivie plant’, 비니(vigny)의 요람Moise, 보들레르의 거대한 날개 때문에 땅 위를 걷지 못하는 신청옹albatross 등이 이러한 예술가의 자의식, 예술가의 운명, 지위 등을 상징한다.”
- ‘상아탑tour d’ivoire’ : 생뜨 뵈브가 알프레드 드 비니의 생애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단어. 미적 은둔 생활을 위해 사회적 의무를 포기한 삶.
L’art pour l’art
테오필 고티에. “책은 젤라틴 수우프와 바꿀 수 없고 소설은 봉합흔적이 없는 한 컬레의 장화가 아니다.”, “나는 예술의 자율성을 믿는다. 나에게 있어 예술은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다. … “, “호머의 시, 피디아스의 조각, 라파엘의 그림은 도덕주의자들의 온갖 논문보다 인간의 영혼을 더 많이 고양시켰다.”
미의 종교religion de la beaute’ : 플로베르
esse est percipi (존재하는 것이 지각되는 것이다)
말라르메: 세계는 한 권으로 책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존재한다.
오스카 와일드 : 예술이 삶을 모방하기보다는 삶이 예술을 훨씬 더 많이 모방한다.
사실주의
후기 낭만주의적 경향으로 이해하는 학자도 있음.
빅토르 위고와 구스타브 쿠르베 : 과학과 진보에 대한 믿음.
졸라. “우리는 실험화학과 물리학을 가지고 있다.” <- 실험소설론.
사회적 책임.
위고. “예술을 위한 예술은 훌륭하다. 그러나 진보를 위한 예술은 훨씬 더 아름답다.”
콩트. “예술은 사실의 이상적인 재현이다. 그리고 예술의 목적은 우리의 완전성에 대한 감각을 함양하는 것이다.”
푸리에. 유토피아로 가기 위해 예술과 미는 필수 요건임.
프루동. “예술은 자연과 우리 자신의 이상화된 재현으로서, 그것의 목적은 인류의 신체적, 도덕적 완전성이다.”
러스킨와 모리스의 경우.
러스킨 : 미적 양식의 기능주의
“산업 문명은 인간을 기계로 바꾸어 놓았다.”
윌리엄 모리스: 장식적 예술. 바우하우스. 아르누보. 현대 디자인 개념을 만듦.
톨스토이.
12장. 오늘날의 전개 양상.
크로체와 형이상학자들.
크로체. 직관 = 표현. 따라서 “예술은 곧 표현”, 정서의 표현.
예술적 직관은 서정적일 뿐만 아니라 우주적이다.
콜링우드 : 크로체의 세계를 그대로 이어받음.
베르그송.
산타야나. 도덕주의자.
듀이. 정제되고 강화된 경험형태인 예술 작품과 일반적으로 경험을 구성한다고 여겨지고 있는 일상적 사건들 사이의 연속성, 행함과 겪음 사이의 연속성을 회복시키는 것, 이것이 과제이다.
미적 경험은 한 문명의 삶의 표명과 기록과 기념이며, 그 문명의 발전을 촉진하는 수단이다. 그것은 또한 한 문명의 질에 대한 최종적 판단이다.
기호학적 접근
다른 어떤 하나의 기호로서 기능하는 과정, 즉 기호화semiosis의 문제.
의식의 새로운 차원, 즉 자의식에까지 뚫고 들어갔으며, 기호sign와 지시체significatum (referent)를 구별해야만 수월하게 사고 할 수 있게 되었고 따라서 특징적이게도 기호론적 차원을 염두에 두면서 문제들에 접근하는 것 같다.
마르크스-레닌주의
플레하노프. 예술작품이 그릇된 관념에 기초해있으면, 내재한 모순이 필연적으로 그것의 미적 성질의 타락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재능을 입증받은 어떤 예술가라도 우리 시대의 위대한 해방적 이념들에 몰두함으로써 자신의 작품의 강렬도를 상당히 증폭시키게 될 것이다.
현상학.
예술작품은 “세계를 건립하고 대지를 생산해낸다”는 점에서 ‘단순한 사물’이나 유용한 사물(도구)과 구별된다. – 하이데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