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시끄러운 고독
보후밀 흐라발Bohumil Hrabal(지음), 이창실(옮김), 문학동네, 2016
서평 쓰기도 꽤 많은 시간이 걸린다. 간단하게 감상을 적기도 하지만, 혹시 나중에 읽었던 책에 대한 내용을 찾을 때를 대비해 자료 정리의 측면도 있다 보니, 다소 길고 인용이 많아졌다. 결국 책 읽는 속도를 서평 쓰는 속도가 따라가지 못해, 읽었으나 리뷰를 올리지 못한 책들이 열 권을 넘겼다. 시간이 나면 정리해 올리려고 하고 있으나, 쉽지 않고 쫓기다보니 서평의 질도 예전만 못하다.
보후밀 흐라발(1914 - 1997). 체코 최고의 소설가이지만, 국내에는 뒤늦게 소개되었다(아니 전세계적으로도 그렇지 않을까). 체코 소설가라고 하면 먼저 떠오르는 이가 밀란 쿤데라이고, 토니 주트(Tony Judt, 1948 ~ 2010)는 <<20세기를 생각한다>>에서 밀란 쿤데라(Milan Kundera, 1929 ~ )에 대해 이렇게 언급한다.
체코슬로바키아의 다른 유명한 반체제 문인인 소설가 밀란 쿤데라에게도, 이유는 다르지만, 똑같은 논법을 적용할 수 있다. 나의 체코인 친구들 중에는 쿤데라가 서방에서 큰 인기를 끄는 데 심히 분개하는 이들이 있다. 이들은 묻는다. 왜 다른 체코 작가들의 작품은 (체코 독자들이 더 좋아하는 경우가 더 많은데도) 국경 너머에서 읽히지 않는가?
- <<20세기를 생각한다>>, 토니 주트 & 티머시 스나이더 지음, 303쪽(조행복 옮김, 열린책들)
순응주의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진부한 것으로 이기심이나 통찰력 부족에서 비롯한다. 공산주의 체제 막바지의 순응주의가 그것이다. 다른 하나는 쿤데라의 무희들, 즉 1940년대와 1950년대의 믿는 자들이 지닌 순응주의이다. 당신도 알다시피, 세상에 등을 돌리고 서로의 얼굴 밖에 보지 못하지만 모든 것을 보고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그들이다.
- 위의 책, 310쪽
밀란 쿤데라 이후 처음 읽는 체코 작가 보후밀 흐라발. 밀란 쿤데라가 프랑스 파리에서 창작 활동을 하는 동안, 보후밀 흐라발은 체코를 떠나지 않고 체코어로 글을 썼으며 그의 소설 대부분이 금서가 되었으며 무수하게 많은 직업을 전전하며 창작활동을 이어왔다는 것이다. 그래서 서방 언론은 그를 두고 '체코 소설의 슬픈 왕'이라고 일컫는지도 모르겠다. 하긴 이 책도 한없이 슬프긴 마찬가지지만.
삼십오 년째 나는 폐지 더미 속에서 일하고 있다. 이 일이야말로 나의 온전한 러브스토리다. (... ...) 나는 맑은 샘물과 고인 물이 가득한 항아리에서 조금만 몸을 기울여도 근사한 생각의 물줄기가 흘러나온다. 뜻하지 않게 교양을 쌓게 된 나는 이제 어느 것이 내 생각이고 어느 것이 책에서 읽은 건지도 명확히 구분할 수 없게 되었다. - 9쪽
작중 화자는 폐지 더미 속에서 그 폐지를 압축하는 일을 하고 있다. 그리고 폐지로 넘어오는 무수한 책들, 고전들, 심지어 고전 회화들까지 보면서 지식을 얻었다고 고백한다.
나는 근사한 문장을 통째로 쪼아 사탕처럼 빨아먹고, 작은 잔에 든 리큐어처럼 홀짝대며 음미한다. 사상이 내 안에 알코올처럼 녹아들 때까지. 문장이 천천히 스며들어 나의 뇌와 심장을 적실 뿐 아니라 혈관 깊숙이 모세혈관까지 비집고 들어온다.
- 10쪽
하지만 이 소설은 작중 화자의, 우연히 얻게 된 지적 능력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는다. 도리어 자신의 일상과는 아무 상관없고 인정 받지도 못하는 지적 능력와 시대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 채 밀리는 기술. 대화라곤 폐지 압축 공장에서의 대화나 만차나 집시 여인과의 대화가 전부인 이 소설은, 거의 모든 문장들이 주인공의 독백이나 생각으로 채워진 채로, 주인공의 시선으로 외부 세계를 바라보며 주인공 자신과는 무관한 세상과 그 속에서의 보이지 않는 갈등과 슬픔, 비극을 드러낸다.
결국엔 실패하게 될 주인공을 앞에 두고 그 실패를 목격하게 될 우리 독자는 잔인하기만 하다. 결국 우리의 삶도 그렇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스스로 '한탸'(주인공의 이름)를 보면서 슬퍼하며 공감하게 되는 것일까. 아니면... 우리는 우리 뜻대로 살았다고 생각하지만, 뒤늦게 돌이켜보면서 그렇지 않았다는 걸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이 점에서 한탸 또한, 우연히 얻게 된 지식으로 ....
책들에 둘러싸인 나는 책에서 쉴새없이 표징을 구했으나 하늘로부터 단 한 줄의 메시지도 받지 못한 채 오히려 책들이 단합해 내게 맞섰는데 말이다. 반면 책을 혐오한 만차는 영원토록 그녀에게 예정된 운명대로 글쓰기에 영감을 불어넣는 여인이 되어 있었고, 심지어 돌로 된 날개로 퍼덕이며 비상했다. 깊은 밤 환히 불밝혀진 왕성(王城)의 두 창문처럼 부드러운 빛을 발하는 날개였다.
- 104쪽
만차와의 에피소드는 무척 흥미로웠지만, 결국 그렇게 될 것임을 예감할 수 있지 않았을까. 나 또한 탐욕스럽게 책을 읽으나, 그것이 내 생계와는 무관함을 뒤늦게 깨닫고 있으니.
나는 새로운 삶에 절대로 적응할 수 없을 것이다. 코페르니쿠스가 지구가 더는 세상의 중심이 아니라는 걸 밝혀내자 대거 자살을 감행한 그 모든 수도사들처럼
- 106쪽
이 소설은 짧지만 강렬하고, 책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책에 대한 찬사가 아니라 그것의 무능력함, 필요없음, 결국엔 죽음으로 끝나는 비극에 대해 이야기하고, 결국 세상은 진지한 이들의 편에 서지 않을 것임을 차분히 드러낸다.
하긴 그건 이 소설을 읽지 않아도 다 알고 있는 사실 아닐까.
Bohumil Hrabal, 1914 - 1997
너무 시끄러운 고독 - 보후밀 흐라발 지음, 이창실 옮김/문학동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