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용 The Invisible Dragon: Essays on Beauty
데이브 하키(지음), 박대정(옮김), 마음산책, 2011년
몇 번 읽다가 만 책이다. 구입하려고 목록에 올려놓았다가 다른 책들에 밀려 결국 사지 않은 책이기도 하다. 로버트 메이플소프의 <X 포트폴리오>에 속한 몇몇 보기 어려운 작품을 국내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책이기도 하다.
Robert Mapplethorpe (United States, 1946-1989)
Black clamshell case with gelatin silver photographs
Closed: 14 13/16 x 14 x 1 15/16 in. (37.62 x 35.56 x 4.92 cm); Open: 14 13/16 x 29 3/4 in. (37.62 x 75.57 cm)
안타깝게도 로버트 메이플소트의 <X 포트폴리오>는 위 사진정도만 보여줄 수 있음을. 대신 LA카운티미술관 웹사이트에선 로버트 메이플소프의 작품을 볼 수 있지만, 심신미약자들이나 보수적 신앙심에 불타오르는 이들에겐 권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책의 계기는 저 작품 때문이었다. 사람들, 특히 미국 (상업주의) 사회가 보여준 아름다움에 대한 위선적 태도때문이었다.
로버트 메이플소프의 아름다운 포르노성 사진이 공공장소에 전시되면서 이를 둘러싼 논쟁이 일었는데, 이 논쟁의 모든 면에서 지식인들의 부정직성이라는 돌림병이 침투했다. 이것이 그가 아름다움에 관한 글을 쓰게 된 실제 계기였다. 비굴한 태도를 부르는 이 스캔들에 휩쓸린 사람들이 모두 산적 떼처럼 거짓말을 했으며 영리한 위선의 옷을 입었다. 모두 이 일의 귀추에 대한 이해관계로 얽혀 있었다. 모두에게 돈이 걸린 문제였다. 비평가인 저자가 그 논쟁에 참여한 이유는 오로지 맨해튼 다운타운 시절부터 로버트 메이플소프와 친구였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 16쪽
책은 재미있다. 다소 과격한 어조로, 산만하게 여러 이론가들을 오가며, 아름다움에 대한 부조리와 위선을 드러내고자 저자는 고분분투한다. 현대 미술에 대한 지식인들과 치료기관들(*)의 오해와 위선에 대해 공격하며 그것이 어떻게 잘못되었는가를 지적한다. 그래서 이 책은 새로운 이론이나 작품에 대한 해석을 담고 있지 않다. 오로지 허위에 대한 공격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그렇다면 데이브 하키가 생각하는 아름다움이란 무엇일까?
아름다움의 인간적 속성들은 로마의 신들처럼 수없이 많고 다양하며 효용 면에서 놀랍도록 비슷하다. 그것들은 우리가 필요로 할 때 손 닿는 곳에 있다. 새로움, 친숙함, 오래됨, 자율, 드묾, 신성, 변덕, 장엄, 기발함, 공모, 효용 등이 그런 것이다. 이들이 당장에 띠는 가치가 우리의 제물을 바칠 사당을 결정한다. 우리가 눈앞에 있는 구체화한 외관과 닮음의 장관을 - 소유하기 위함이 아니라, 우리와 우리 자신 너머의 모든 것 사이의 공간을 좁히는 다신교적 포용으로 그 장관에 합류하기 위해 - 마음껏 받아들일 자유를 느낀다면 결코 자신의 욕망을 미심쩍어하는 일은 없다.
- 171쪽
아마 보들레르의 말처럼, "아름다움은 행복을 추구하는 습관적인 방식만큼이나 종류가 많"은 것일지도 모르겠다.
* *
현대미술에 대한 여러 이슈들 중 한 가지가 로버트 메이플소프의 작품들과 같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기에) 과격한 방식의 소재나 주제, 표현방식으로 제작된 작품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이고 전시하며 해석할 것인가다. 이 점에서 데이브 하키는 명확하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그래서 인접 학문을 전공하고 현대 미술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이들을 개인적으로 좋아하지 않는다. 이유는 간단하다. 그들 대부분은 로버트 메이플소프의 작품들이 주는 무한한 감동을 알지 못한다. 역겹고 추악하며 구토를 유발하는 작품들 앞에 서서 왜 우리들 중 일부는 열광하고 눈물을 흘리는가를 그들은 알지 못하면서 현대 미술에 대해 떠든다. 더 심각한 경우는 부게로나 제롬과 같은 위선와 허위에 가득찬 19세기 작품들을 예로 들며 도상학적 해석을 이어나갈 때, 작품은 감상과 감동의 대상이 아닌 지적 해석의 수단으로만 존재하게 만든다. 그들 대부분은 왜 마크 로스코 작품 앞에서 우리가 움직이지 못하는지 알지 못한다. 마크 로스코 작품 앞에서 서면 오로지 나와 작품만 존재하는 흥미로운 경험을 그들은 알지 못한다. 아마 데이브 하키도 그런 심정이었을까. 이미 죽은 친구 메이플소프의 작품들 두고 역겨운 비난을 일삼는 이들을 앞에 두고 말이다.
*치료기관: 데이브 하키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치료기관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조롱한다. 그것은 예술작품을 그들의 시각으로 서열화하고 해석하며 위치지우기 때문이며, 이를 교묘하게 전파하여 세뇌하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용 - 데이브 히키 지음, 박대정 옮김/마음산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