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우주/아트페어 ART FAIR

KIAF 2016

지하련 2017. 1. 24. 23:51


KIAF 2016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10.13 - 16. 코엑스 



매년 키아프를 가다가 최근 몇 년 뜸했다. 정신없이 바쁘고 마음의 여유도 없었다. 미술과의 관계도 소원해지기도 했고 미술 종사자들과의 교류도 많이 끊어졌다. 한 달에 두 세 번씩 보러 가던 전시도, 지금은 몇 달에 한 번 갈까 말까다.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나 싶기도 하고 살아간다는 게 이런 건가 싶기도 하다. 그 사이 미술 애호가가 늘었나 기대해보기도 하지만, 늘 그렇듯 미술 애호가도, 미술 시장도 제 자리 걸음이다.


독서 인구를 조사해봤더니 늘지는 않고 책 읽는 사람들은 더 책을 읽으려고 노력한다나. 미술도 그런 건 아닐까. 어느 순간 부의 상징처럼 미술 작품을 소장하고 소장한 사람들끼리 서로 환담을 나누고. 그래서 책 읽는 사람이나 미술을 좋아하는 사람이나, 자기 주위에 그런 사람들만 있으니 옛날보다 늘어났을 것이라 오해한다. 실은 온라인의 발달로 끼리끼리 교류가 더 편해졌을 뿐인데. 


아트페어는 역시 아트페어다. 미술관에서의 전시와 아트페어에서의 전시는 전혀 다른 종류의 것이고, 아트페어는 일종의 시장이고 박람회다. 그래서 아트페어에서 볼 수 있는 작가나 작품의 스펙트럼은 한정적이다. 그렇다고 아트페어에 작품이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작품이 팔리지 않는 작가라고 오해해서도 안 된다. 다 팔려서 아트페어에 나올 작품이 없을 수도 있다. 다만 키아프의 스페트럼은 많이 좁다고 할까. 일종의 축제여야 하는데, 올핸 그런 분위기도 없는 것같고 그런 작품들도 드물었다. 시장성 뿐만 아니라 예술성을 가진 작품들도 많이 선보였으면 좋았을 텐데. 가령 최근 많은 기업들에서 아트컬렉션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업들의 예술 수집 활동을 보여준다거나 .... 하지만 시장성은 더 강화된 걸까. 2015년 180억원에서 2016년 235억원으로 거래액이 늘어났다고 하니, 내년엔 좀 더 나아지려나. 


이번 키아프에서는 참가한 지방 갤러리 수준이 예사롭지 않았다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낯선 갤러리들이 많고 그 갤러리들이 전시한 작가들도 새로웠다. (하지만 이것이 얼마나 큰 모험인가는 갤러리 일을 해본 이라면 다 아는 사실이다)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작가들을 발굴하는 젊은 갤러리들이 늘어나야 한다고 교과서같은 말을 적어보지만, 쉽지 않다. 그런 갤러리들을 많은 애호가들이 지지해 주어야 하고 작가들도 도와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비평이나 담론의 문제가 아니라 역시 시장의 문제다. 시장이 뒷받침해주어야만 좋은 갤러리가 살아남는다. 


하지만 이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맨날 미술 평론가들이 떠들어봤자 아무 소용없다. 작품이 팔려야 된다. 그래야 갤러리도 임대료 내고 전기세 내고 작가들은 캔버스 사고 물감 살 수 있다. 공적 기금만 바라지 말고 말이다. (공적 기금과 갤러리는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다.)


한때 꿈이 갤러리 운영이었는데, 이제 꿈 많던 철없던 시절의 백일몽같은 게 되어버렸다. 아직도 미련을 버리지 못한 걸 보면, ... 아직 철이 덜 든 건가. 2016년 키아프에서 만난 기억 남는 작품 몇 점의 이미지를 올려본다. 




홍경택의 작품이다. 홍경택은 늘 그렇듯 정답이다. 홍경택의 작품은 실제로 봐야 안다. 그 날카로움, 그 치열한 날카로움 속에 담긴 무한한 애정과 열정을. 



김덕용의 작품은 언제나, 그 재료가 주는 따뜻함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낮은 목소리로 우리를 이끈다. 그러고 보니, 참 오랜만에 김덕용의 작품을 보았다. 


안창홍의 작품이다. 역시! 팔렸다. 


김택상의 작품이다. 기존의 단색화들과는 전혀 다른 방식의 접근법을 가지고 있지만, 그걸 알아차리고 이해하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동시에 최근 한국 단색화에 대한 재조명도 다소 부담스럽다고 할까. (그나저나 김택상 선생님께 한 번 연락드리고 만나야 하는데 말이다.) 


 

김현숙의 작품이다. 열심히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이 대단해 보였다. 작가에게 필요한 것은 먼저 성실성이다. 그 다음이 재능이다. 그리고 어느 순간, 훌쩍 뛰어오르는 순간이 있다. (몇 년 만에 얼굴을 뵈었는데, 그대로였다.) 


마이클 크레이그-마틴의 작품이다. 워낙 유명한 작가이니, 설명을 생략해도 될려나. 하지만 이런 작품들이 나오기 시작했던 20세기 중후반과 달리 지금은 너무 쉽나, 하는 생각이 드는 건 왜 일까. 


가끔 읽게 되는 미술 잡지에서 매달 가볼 만한 전시를 노트하곤 하는데, 가는 일은 거의 없다. 하긴 아는 이가 전시를 하고 전시 기획을 해도 못 가는 마당에. 2017년에는 좀 달라지려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