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17

문명의 붕괴, 조지프 A.테인터

문명의 붕괴 - 조지프 A.테인터/대원사 문명의 붕괴 조지프 A. 테인터, 대원사, 1999. (오래 전에 쓴 서평을 다시 업데이트해 올리는 것은, Slow Death(느린 죽음)이라는 것이 최근의 내 관심사이기 때문이다. 테인터의 이 책은 지금은 구하기 힘들지만, '문명의 붕괴'에 대해 탁월한 통찰을 보여준 책들 중 한 권이다. 레베카 코스타의 에서 초반부 복잡성의 증대가 문명의 붕괴를 불러온다는 견해도 조지프 테인터의 이론이기도 하다. 우리는 지금 붕괴하는 문명의 끝자락에 있을 지도 모르는데, 사람들은 태평하기만 하고 자신들만을 위한 평화와 안정에만 관심이 있으니 ... 걱정이 앞선다.) "48시간 내로 이라크를 떠나라"라는 최후 통첩은 를 읽고 난 다음 무척 신선하게 들리기까지 한다. 아마 요한묵시..

스펙터클 사회과 예술 실천 - 'noon'을 읽고

Noon 1호 - Noon 편집부 엮음/GB(월간지) 2009년에 창간호가 나온 후 소식이 없는 잡지 ‘noon -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and visual culutre’를 읽었다. 주제는 violence of the spectacle이다. 아마 몇 명은 바로 예상하겠지만, 이 주제는 기 드보르Guy Debord의 에서 언급된 그 스펙타클에 대한 것이다. 기 드보르는 이 놀라운 저작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의 스펙타클을 새롭게 정의 내린다. “스펙타클은 일련의 이미지들이 아니라 이미지들에 의해 매개되는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이다.” 기 드보르는 이미지들로 구성되는 스펙타클이 아니라 감각적 이미지들의 구성체로서의 스펙타클이 지배하는 사회의 스펙타클 환경(상황)에 주목하고..

담배 피우는 우리들의 피터팬

보건복지부에서 만든 금연 캠페인 홍보물이다. 하나는 백설공주가 나쁜 마녀한테서 사과 대신 담배를 건네 받는 그림이고 하나는 피터팬이 담배를 피우다 할아버지가 된 그림이다. 그런데 피터팬 그림은 이래저래 심금을 울린다. 그건 담배 때문이 아니라, 세상이 얼마나 안 좋아졌으면 피터팬으로 하여금 담배를 피우게 만들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담배를 피우다가 늙은 것이 아니라 세상이 이미 피터팬에 많은 상처와 고통을 주었고 늙지 않는다는 피터팬도 천천히 늙어버린 것이다. 그리고 그는 결국 담배를 피우면서 신세한탄조의 표정으로 물끄러미 먼 산을 쳐다본다. 그러고 보면 힘든 세상, 벗이 되는 건 술과 담배 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 너무 위험한 생각인가. 크) - 2005년 8월 19일 토요일 아침 커..

블로그의 힘F로서의 테터앤미디어

블로그의 힘F로서의 테터앤미디어 - TNM 3주년을 즈음하여 가끔 살아가다 보면 변화를 간절히 바라고 기다릴 때가 있다. 자신의 처지나 모습을, 혹은 외부 세계의 환경을, 나라의 정치나 정부, 환경 문제 등을. 그런데 변화를 바라지만, 그 변화에 대한 생각이나 태도은 고대와 현대 사이에는 건널 수 없는 강이 있을 정도로 크게 변했다. 대학 시절 누구나 한 번쯤은 듣게 되는 교양철학 시간, 두 번째나 세 번째 시간 강사나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스승과 달리 형상, 이데아는 이 세계 속에 있다고 합니다. 플라톤이 이데아는 저 세계에 있다고 한 것과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현실 세계 속에 있다고 하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관이 본질적으로..

부끄러운 이 나라

최근 '미디어법 통과'는 여러모로 여당에게 유리한 정치적 포석이다. 그들은 이른바 보수언론이라 일컬어지는 '조중동'의 바람을 들어주었으며, 앞으로도 그들의 입을 빌어 자신들의 정치 행보나 정책 입안에 대한 대 국민 홍보 매체를 가지게 된 것이다. 법적 해석을 통해 이번 통과가 무효가 되더라도(이것이 가능한지 모르겠지만), 그들은 보수언론을 향해, 우리는 할 만큼 했다고 이야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들은 정치적 목적을 위해선 여론이나 합리적 추론이나 사고, 정치적 신념의 일관성 따윈 헌 신짝 버리듯 버릴 수 있음을 몸으로 보여주는, 마치 '정치판'라 불리는 비옥한 평원에서 살아가는 원시적 감각으로 번뜩이는 야생 동물처럼 보였다. 이에 비해, 야당은, 뭐랄까, 마치 야생의 감각을 잃어버렸다고 해야 할까...

타인에게 귀 기울이기

얼마 전에 참가했던 컨퍼런스 발표자가 말하길, "사람들 대부분은 타인의 말을 듣지 않는다. 단지 듣는 척만 할 뿐이다. 듣는 척만 할 뿐, 자신의 생각이나 견해를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듣고 난 뒤 어떻게 자신의 생각을 주장할 것인가에만 골몰한다. 그만큼 타인의 말을 귀담아 듣기란 어렵고, 그것을 자신의 생각인양 이해하고 받아들이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정말 그런 것일까. 요즘 며칠 좀 어수선한 일에 휘말려 버렸다. 내가 자초한 일일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긴 그렇다고 하더라도, 다시 그 상황이 오더라도, 나는 똑같이 행동했을 가능성이 99% 이상이다. 오늘, 내일은 뭔가 해결책을 찾아야만 하는데, 그게 가능할 지 잘 모르겠다. 그냥 매몰차게 행동해야 되는 것이 방법인지, ... ... 딱히 해결..

관성과 시간

나를 형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것들이 형성된 것은 언제부터 일까? 가령 예를 들자면, 술버릇이라든가, 말 하는 속도라든가, ... ... 실은 이것도 일종의 관성 같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최근에 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이것들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관성 이상의 어떤 힘이나 에너지가 필요한 것이고... 특히 인생에 있어서 이러한 힘이나 에너지들은 종종 사랑의 실패, 오랜 인연의 결렬, 사소한 실수로 인한 감당하기 힘든 시련, 혹은 우연에 의한 비극 등으로 인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결국 우리는 오래 전부터 형성되어온 관성 속에서 어떤 변화를 시도하지만, 아주 소극적인 차원에서만 이루어지고, 변화 시도를 했다는 것만으로도 위안을 받으며, 번번히 관성에 이끌려 가는 것은 아닐까. 이렇게 볼 때, 감당하기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