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173

육체의 악마, 레이몽 라디게

육체의 악마 - 레이몽 라디게 지음, 김예령 옮김/문학과지성사 육체의 악마, 레이몽 라디게(지음), 문학과 지성사 1. Passion 불같이 활활 타오르던 사랑이 식지 못한 채 여러 차례의 깊은 계곡을 통과한 다음, 끔찍한 파국을 맞이하게 되는 것은 그 사랑의 정념이 사악하기 때문일까? 혹은 불륜을 지속시키기 위해, 부도덕을 도덕으로 위장하기 위해, 그 순수한 사랑은 그 사랑을 타인들에게 숨겼다는, 그것만으로도 자신들의 사랑이 허약하다는 충분한 이유가 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스스로 상처 입은 것일까? 2. 불륜 나에게, 혹은 이 소설을 읽고 잔인한 쾌감, 아마 아리스토텔레스라면 자신만만하게 '카타르시스'라고 말했을 그런 쾌감을 느끼는 사람들 모두 도덕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일까? 그러나 불행하게도 '도..

우아하고 감상적인 일본야구, 다카하시 겐이치로

우아하고 감상적인 일본야구 - 다카하시 겐이치로 지음, 박혜성 옮김/웅진지식하우스(웅진닷컴) , 다카하시 겐이치로 지음, 박혜성 옮김, 웅진출판, 1995 (* 시리즈의 열번째 권). 1. 이 소설에 대한 감상문으로 적당한 문장은 이러하다. “다카하시 겐이치로라는 일본의 변태적 허구를 즐기는 작가가 쓴 소설을 읽었는데 말이야, 도통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 그런데 녀석 소설 하나를 잘 쓰더군. 뭐, 무슨 말인지도 모르는 소설을 읽고 잘 쓴다라는 따위의 말을 하는 것이 이상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다카하시 겐이치로라는 녀석이 ‘변태’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사라지는 건 아니야.” 하지만 이런 문장은 이 소설을 소개하는 글의 문장으론 적당하지 않다. 2. 소설 뒤에 붙은 박유하 교수의 해설은 이 소설의 ..

홍수, 르 클레지오

『洪水Le De'luge』, 르 클레지오 지음(* 이휘영 옮김), 동문선. 1988. * 그대들은 죽음을 모르고 있다 * 익명성: 이것은 누구나 혼잡한 거리에서 느낄 수 있는 현대 도시의 비극적 특성들 중의 하나이다. 작품의 주인공인 프랑소와 베송은 이 익명성 속에 자신을 파묻는다. 그래서, 소설은 프랑소와 베송의 뒤를 따라다니며 전개되지만, 프랑소와 베송은 그렇게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고, 도리어 그가 보는 사람들, 거리들, 풍경들만 독자의 눈동자 속 으로 들어온다. 그리고 주인공 대신 독자의 눈동자 속에 들어온 사람 들, 거리들, 풍경들에서 독자는 르 클레지오 특유의 서정적인 분위기 를 제외하곤 아무런 것도 얻을 수 없다. 특별한 사건도, 특별한 줄거 리도, 특별한 인물도 없으며, 아무 것도 특별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