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들의 우주/이론 297

백과전서, 마들렌 피노

, 마들렌 피노 지음. 한길 크세주 5권 이 책은 전적으로 라는 방대한 책의 서지적 사항에만 주목하고 있다. 그래서 문학사나 사상사에서 곧잘 등장하는 ‘백과전서파’라는 단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모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혹은 내가 ‘백과전서파’에 대해 필요치 않은 중요함을 부여하고 있을 수도 있다. 17권의 본문책들과 11권의 도판책으로 이루어진 는 그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를 대변한다는 의미에서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달랑베르는 서문에서 ‘우리가 시작한(그리고 완성하기를 원하는) 이 저서는 두 목표를 갖는다. 이 저서는 백과사전처럼 인간 지식의 질서와 맥락을 가능한 한 설명해야 한다. 과학과 기술, 공예에 관한 이론적 사건처럼 이 저서는 인문적인 것이든 기술적인 것이든 각각의 학문과 기술에 관해 ..

불안의 개념, 쇠렌 키에르케고르

불안의 개념 - 쇠렌 키에르케고르 지음/한길사쇠렌 키에르케고르, 『불안의 개념(Begrebet Angest)』, 임규정 옮김, 한길사, 1999.비트겐슈타인이 키에르케고르를 두고 ‘진실로 종교적’이며, 자기에겐 ‘너무 심오하다’라고 말했을 때, 여기에서 우리는 키에르케고르의 철학 세계의 한 단면을 알아차릴 수 있다. 키에르케고르가 염두에 두고 있었던 건 언제나 ‘신앙’이었고 그 신앙으로 자신이 구원되리라고 확신하고 있었다. 하지만 난 그와 얼마나 멀리 떨어져있는가. 그가 ‘확신과 내면성은 사실상 주체성이다’(p. 365)라고 말했을 때 난 이미 확신과 내면성을 내 속에서 몰아내고 있었으며, 그가 ‘불안은 자유의 가능성이다’(p. 397)라고 말했을 때 난 불안을 앞에 두고 ‘고개 돌리기’와 ‘눈감기’를 ..

근대성의 구조, 이마무라 히토시

근대성의 구조 - 이마무라 히토시 지음, 이수정 옮김/민음사 근대성의 구조, 이마무라 히토시(지음), 민음사, 1999. 1. 인과율 이 세상에 '당연한' 것은 없다. 모든 현상에는 인과율 (causality)이라고 하는, 라는 이름의 족쇄에 묶여 있다. 그리고 현재의 고통이나 불합리는 이것을 둘러싼 이러한 인과 관계를 이해할 때에만 벗어나거나 고칠 수 있는 방법을 찾 아낼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근대인(Moderni)라면 그렇게 생각 할 것이 분명하다. 따지고 보면 우리 인간이 속해 있는 우주에 비한다면 '근대(Modern)'란 그렇게 특별한 시대는 아니다. 단지 이 세계와 우주, 그 속에서 진행되는 인간들의 삶을 이러한 인과 관계와 이성의 눈을 통해 보다 치밀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노력한 시대..

현대사상의 모험, 타케다 세이지

* '나'로부터 세계가 있다. 그리고 난 그 세계를 본다. 그 세계는 그 자체로서 존재하고 있는 것일까? 과연 내가 없어도 세계는 존재하고 있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인가? 그것에 대해서 난 세계가 존재한다거나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말할 수 없다. 왜냐면, 이미 지금 난 여기 있으며, 동시에 내가 바라보는 세계가 존재하고 있음으로(동시에 난 내자신이 부재하 는 상황을 인식할 수 없음으로). 그렇다면, 왜 난 세계 속에서 아파하 는 것일까? 나의 고통 때문에, 혹은 타인의 고통때문에. 정말로 타인 의 고통이라는, 보다 넓게 세계의 고통이라는 것은 내 고통이나 아픔 이 될 수 있는가? 그러나, '불행하게도' 경험상 세계의 아픔은 내 아 픔이 되고 있(었)다(* 이것을 소설가 박상륭은 예술가들의 '메시아컴 플렉스..

현대성의 경험, 마샬 버먼

현대성의 경험 - 마샬 버먼 지음, 윤호병 옮김/현대미학사 마샬 버먼 (윤호병, 이만식 옮김). 현대미학사. 1994. 01. "현대적으로 된다는 것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생활을 소용돌이로서 경험하는 것이고, 영원한 해체와 재생, 고난과 고통, 애매성과 모순 대립 속에서 자신의 세계와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것이며, 견고한 모든 것이 대기 속에 녹아버리는 세계의 일부분이 되는 것이다. 모더니스트가 된다는 것은 소용돌이 속에서 어떻든간에 자기자신을 편안하게 만드는 것이고, 현실, 아름다움, 자유, 정의 등 소용돌이의 도도하고 위험스러운 흐름이 허용하는 것들의 형태를 찾아서 그 흐름 속에 합류하는 것이다." ( 425쪽 ) 02.마샬 버먼은 강력한 모더니즘 옹호자이다. 그것은 그가 이 책을 기획했을 1970년..

변증법적 미학에 이르는 길 - 루카치와 하우저의 대화

(* 루카치와 하우저의 대화). 편역 반성완. 문학과비평. 1990 01. 새삼스럽게 '변증법'이라는 단어가 책 제목에 들어가는 걸 보니, 그 동안 운동권의 논리에 의해 '변증법'이라는 단어가 얼만큼 훼손되었나 를 실감하게 된다. 그러나, '변증법'이란 단어는 하우저에게 있어서는, "변증법은 내게 있어서 선입견에 사로잡히지 않음을 의미하고, 또 그것은 나에게 매사를 두 가지 측면에서 판단할 수 있게 해주는 절대적 자유를 보장해 주었습니다. 나는 언제나 현상은 양면적이고 주관적이며 제한되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했습니다. 모든 인간 행위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모순에 봉착하게 되는 내적 자극이나 아니면 물질적인 것입 니다. 그리고 이 물질적인 것은 그것을 받아들이는 지속적인 능력과 숙 련된 기술이 없으면 곧장..

문화이론입문, 그래엄 터너

문화연구입문 - 그래엄 터너 지음/한나래 문화 연구 입문그래엄 터너 지음(김연종 옮김) 한나래 이 책의 원제는 이다. 즉, 제목 그대 로 영국의 문화 연구 전통에 대한 입문서이다. 그러나, 입문서라고 해 서 그렇게 쉽게 읽히는 책은 아니다. 한 마디로 요약서이기 때문에, 꼼 꼼히 읽을 필요가 있기도 하다. 이 책의 구성은 제 1부 기본 원칙들-, . 제 2 부 중심 범주-,,,. 으로 이루어져 있다. 요즘 문화연구(혹은 문화이론)에 대한 교양강좌가 각 대학교(원)나 사설 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좀 과장해서 말한다면 그 곳에 서 이루어지는 강의는 절대로 이 책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한다. 벗어난 다면, 그건 강의하는 사람의 개인적인 견해일 것이다. 개인적으로 한동안 '문화연구(문화이론)'에 ..